"온화한 기후와 넓은 강, 상상력 자극의 원천"

입력 2025.04.15. 16:26 임창균 기자
[김옥희 백호문학관 학예연구사]
날카로운 시선·단단한 감성 바탕
시대와 인간 삶, 공통적 주제 다뤄
나주문학 계승 ‘임제문학상’ 의미
김옥희 백호문학관 학예연구사

"시인이란 세상에 예민한 촉수를 대고 가장 먼저 반응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주 문인들에게는 이러한 시대정신을 놓치지 않고 작품에 반영해왔다는 공통점이 있지요."

김옥희 백호문학관 학예연구사는 나주 문학의 특징에 대해 '모순과 불합리에 안주하지 않는 날카로운 시대 정신'으로 정리했다.

온화한 기후와 너른 평야, 유유히 흐르는 영산강은 문학과 문화예술이 발달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임제부터 정우채, 오유권에 이르기까지 나주 문인들은 각자가 살았던 시대와 인간의 삶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공통적으로 그려냈다는 것이다.

김 학예사는 "현실을 외면한 뜬구름같은 서정이 아니라, 우리 삶에 기반한 단단한 감성이 생동감 있게 살아있는 것이 나주 문학의 특징이다"며 "나주 문인들에게 영산강은 단순한 작품의 소재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고뇌가 담겨있는 삶의 현장 그 자체다"고 말했다.

이러한 흐름 시작은 나주문학의 뿌리인 임제로부터 비롯했으며 그를 기리고 있는 백호문학관은 어린이글짓기대회, 찾아가는 청소년 문학교실, 백호시강독회 등을 열며 백호의 문학세계를 전하고 있다. 전시실, 수장고, 체험실, 도서실, 집필실 등을 갖추고 시민과 함께 하는 문학프로그램도 연중 운영 중이다. 특히 매주 토요일 진행되는 '한시 100수 읽기'는 전국에서 사례를 찾기 힘든 한시 관련 시민강좌로 나주의 높은 문학 수준을 보여준다. 올해는 타오르는강문학관과도 협업해 등단작가와 함께하는 시창작교실, 시낭송회등도 열릴 예정이다.

또 2018년부터는 백호임제문학상을 운영했으며 지난해에는 시대의 모순과 불의에 저항해온 거리의 시인, 송경동 시인이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김 학예사는 "백호문학관이 곧 나주문학관이다. 백호를 시작으로 나주의 문학정신과 전통을 현대에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그동안 백호임제문학상이 시상식만 단촐하게 운영했는데 올해부터는 나주문학제를 신설해 문학상 시상식, 문화콘서트 등 시민들이 함께 즐기는 문화축제로 만드려고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장기적으로는 나주문학에 대해 가장 전문적이면서 가장 대중적인 문학관이 되려 한다" 며 "다양한 학술사업과 대중프로그램을 꾸려나가 백호문학관이 나주문학의 거점이자 허브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