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0년 5월 동호가 디뎠던 그 길 위에 서다뚜벅이 여행 19 광주 ‘소년의 길’
사적지1호이자 항쟁의 발원지 전남대
한강 작가 유년기 보낸 중흥동 지나
폐철도 흔적 간직한 푸른길로 이어져
1980년 민주주의 역사 현장 금남로
전시로 공간으로 그날 이야기 풀어가
2025.06.05@ 임창균 -
오페라·발레·클래식··· 더위 식혀줄 풍성한 무대[광주문화재단, 찾아가는 6월 문화공연]
5곳 야외 공연장서 11회 공연
아카펠라·스트릿댄스 등 다양
동구, 전통·현대 어우러진 무대
서·광산구, ‘해설이 있는 발레’
시립창극단, 판소리·민요 선봬
2025.06.02@ 임창균 -
사람·공동체 가치 중심 '인문도시 광주 동구' 조명■월간 ‘아트plus’ 6월호 발간
임택 광주 동구청장 ‘커버스토리’
관광·집수리 사업 등 정책 살펴
나주, 명품 교육도시 도약 노력
전일빌딩245 시민특화 프로 눈길
역사이야기 가득 ‘마을 돌아보기’
다시 걷는 ‘소년의 길’ 등
2025.06.01@ 임창균 -
어찌 혓바닥이 안 재미를 그림이 알까[그림으로 농사짓는 박문종 에세이⑤] 남도음식기행
백반정식 기대하고 찾은 식당
'퓨전 코스요리' 바뀌어 아쉬움
어릴 적 빈곤 보릿고개가 어제
'먹방' 트렌드 시대…'격세지감'
2006년 음식-미술 결합전 참가
전남 곳곳서 다양한 먹거리2025.06.01@ 김만선 -
발끝으로 느끼는 쉼, 몸과 마음이 가벼워집니다가정의 달 힐링 스팟, 광주·전남 맨발길
2025.05.23@ 임창균 -
그 흔하디 흔하던 난초는 다 어디로 갔을까[그림으로 농사짓는 박문종 에세이④]난바람
난 그림에는 기운이 가장 중요
벼루·먹에 새 물…붓은 순해야
부단한 연습으로 운필 용이하게
1970년대 동양화바람 타고 붐
온실 화초서 야산으로 돌려줘야2025.05.19@ 김만선 -
부처의 숨결따라 걷다보니, 마음에도 평화가 스몄다뚜벅이 여행 18 영광 불갑사, 법성포
불갑산 기슭 천년고찰 불갑사
봄에는 짙은 산록 푸르름 가득
영광산림박물관 전시도 볼거리
법성포·백제불교최초도래지 등
불교문화 역사 체험도 한번에2025.05.08@ 임창균 -
세계적 생태도시 거듭나기 '녹차수도 보성' 조명[월간 '아트plus' 5월호 발간]
김철우 보성군수 표지·인터뷰
보성다향대축제 등 세기획 다뤄
'영산강 르네상스-나주' 새 연재
젊은이 활력소 청춘문화누리터
문화공연 무등울림축제 등 눈길
가정의달 특집 전망대·맨발길도
2025.05.01@ 임창균 -
'죽어야 사는' 남자가 17번째 봄에서 찾은 것[영화읽기-봉준호 감독의 '미키 17']
‘인간 중심주의’ 주제 의식 반영
감독 직접 각본 집필…개성 선명
‘성’ 담론서 여성주의 서사 강조
토니 콜렛 명연기 스크린 압도
탄생-죽음 통해 인생 의미 질문2025.04.28@ 최소원 -
"세상 하나뿐인 그릇, 내 손으로 빚어 더 근사하네"[문화현장-빛고을공예창작촌 도자기 물레체험]
광산구민 10여 명 참여 즐거운 시간
구민영 작가 맞춤형 지도로 호응
축축한 흙의 점성에 호기심 가득
반죽 물레 돌리며 원하는 형태로
완성된 작품 자신 이름 새겨 뿌듯
1년동안 반상기 세트 제작 목표2025.04.20@ 최소원 -
적벽의 비경에 '탄성', 방랑시인의 매력에 '풍덩'뚜벅이 여행 17 화순
2025.04.19@ 임창균 -
세상사 어지러워도 꽃구경 마다할손가[그림으로 농사짓는 박문종 에세이③]
불·매·운·동(不梅運動)
매화는 사군자 중 맨 먼저 자리
백매는 백묘법·홍매는 몰골법
연진미술원 수련 중 국전 입선
의재선생 공간 춘설헌서 반년
조희룡 '매화서옥도' 분위기도
일에는 공력 들여야 꽃 피더라2025.04.01@ 최소원 -
그해 '겨울'이 데려온 세 사람[영화읽기-알렉산더 페인 감독 '바튼 아카데미']
우리사회 '아웃사이더'의 연대
1970년대 배경…투박한 연출
극적 줄거리 없는 '고군분투'
우울증 현실적으로 다루기도
2025.04.01@ 최소원 -
도시 재생·복지플랫폼‥ 광주의 중심 '남구' 특집■월간 '아트plus' 4월호 발간
김병내 남구청장 '커버스토리'
21만 주민 체감 정책 '기획' 조명
군민 건강 지킴이 보성 의료600
박행보 화백 창작열·작품세계
빛고을공예창작촌 수강생 열기
시네마천국·도서관마당 등 풍성
2025.03.31@ 임창균 -
토슈즈 위 백조의 꿈···하얀 몸짓으로 '나빌레라'[문화현장-광주예술의전당 문화예술교실]
시립예술단 단원들 눈높이 강습
초급·고급반 연령·직업도 다양
"발랑세·플리에" 강사 호령 따라
연습 시작부터 참가자 열기 후끈
매년 발표회…자신만의 무대도
"뜻깊은 추억 쌓는 계기돼 감사"2025.03.23@ 최소원 -
북토크·북스테이···'동네 사랑방' 자리매김[문화이슈-광주 독립서점의 변신]
다양한 행사 접목…문학 향유
글쓰기 전문서점 '기역책방'
'러브앤프리' 삶 경험 나누기
책과 호흡 초점 '동네책방숨'
2025.03.16@ 최소원 -
계절과 세월 흐름에도 변치 않는 예술혼 곳곳에뚜벅이 여행 16, 진도읍 벽화골목, 운림산방2025.03.13@ 임창균
-
베들평 들에서 운명처럼 만난 역사 현장[박문종의 그림이 있는 풍경②]
동학 답사 계기 작업 힌트 얻어
그림 '전라남도 전라북도 ' 완성
담양 거주지엔 전형적인 농가들
세월따라 풍경도 조금씩 변해가
가을 황금들녘에 풍년가 아쉬움
삶의 후렴구처럼 울리는 소리만2025.03.04@ 김만선 -
올봄 함평으로 오순도순 생태관광 떠나볼까■월간 '아트plus' 3월호 발간
이상익 함평군수 '커버스토리'
나비축제·추억공작소 등 기획
'해양치유의 섬 완도' 마지막회
‘광주 방문의 해’ 7대 문화정책
문자로 삶 변하는 보성 소통600
차박여행·뚜벅이여행 등 다채
2025.03.03@ 임창균 -
아이들과 스무줄 모내기가 남긴 추억[박문종의 그림이 있는 풍경①]
학생 대상 자연미술프로그램
마을주민·예술가 등도 한몫
광목에 그림그리기 작업에
캐릭터 만화풍 화면 가득히2025.02.26@ 최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