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속 휴식 가능한 건축적 산책 공간대구 군위 사유원 답사기
2024.03.26@ 김혜진 -
[칼럼] 이주 노동자와 원어민 교사의 만남■신경구의 포용도시광주시청의 제안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교류센터가 1999년에 창립된다. 광주교류센터는 재정지원이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광주 시민들의 후원은 물론 외국인 회원들2024.03.24@ 신경구
-
[칼럼] AGI의 의미와 중요성-(35)■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5)챗GPT가 변호사 시험에 이어 의사면허 시험을 통과하고, 인간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고, 그림을 그려주고, 이제 영상까지 제작하는 등의 발전을 거2024.03.17@ 김경수
-
[공연 리뷰] 일본인의 양심으로 전한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진상연극 '봉선화 Ⅲ' 공연 후기
2024.03.03@ 유형민 -
[칼럼] 스스로 돕는 여성 이주민들■신경구의 포용도시유엔은 1975년에 3월8일을 '세계여성의날'로 지정했다. '광주이주여성연합회'는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지난해에도 기념식을 갖었고, 올해 3월3일 전일빌딩 9층2024.03.03@ 신경구
-
[칼럼] 챗GPT 다음 GPT 스토어에 주목하는 이유-(34)■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4)새해 1월 10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GPT 스토어'를 발표하였다. GPT 스토어란 챗GPT를 통해 맞춤형 모델인 AI 챗봇을 개발하고2024.02.25@ 김경수
-
[칼럼] 이주민들이 만드는 포용사회■신경구의 포용도시지난 1월 마지막 주말 외국인 두 사람이 두툼한 봉투를 들고 국제교류센터를 방문했다. 올해 교류센터의 사정이 좋지 않을 것이 걱정이 되어 찾아 왔다는 것이다. 현2024.02.04@ 신경구
-
[칼럼] AI 스마트폰의 시작과 심플 컬처-(33)■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3)새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의 화두는 '모든 곳에 AI(AI Everywhere)'였다. 처음으로 'AI 혁신상'을2024.01.28@ 김경수
-
[공연 리뷰] 절제된 표현으로 존재의 소멸을 응시하다푸른연극마을 연극 '더 파더'
2024.01.24@ 김문홍 -
[칼럼] '어처구니'를 숨기고 '거들먹'을 노출하는 '거덜사회'■김용근의 잡학카페그때도 오늘도 말속의 말의 진화를 보면 시대적 진리와 도덕을 담은 교양어와 백성어가 소멸하면서 살아서 남아있다.힘있는 권력을 등지고 거들먹거리는 것에 대해, 시대2024.01.21@ 김용근
-
[칼럼] 인종차별의 덕을 본 경험■신경구의 포용도시1994년 내가 전남대학의 어학연구소(현재의 언어교육원) 일을 맡고 있을 때였다. 모든 외국인 강사가 백인이었기 때문에 흑인 강사를 채용하고 싶었다.학생들의 시각2024.01.14@ 신경구
-
[칼럼] 미디어 리터러시의 시작, 스마트폰 리터러시-(32)■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2)2020년 최대의 키워드는 '코로나19'였다. 당시에는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온라인 수업과 재택근무 등 준전시 같은 상황이 펼쳐졌고, 이2024.01.07@ 김경수
-
[공연 리뷰] 창작오페라 '그럼에도 불구하고'와 故 이금주 회장창작 오페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4.01.02@ 유형민 -
[칼럼] AGI 시대의 인간다운 삶-(31)■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1)최근 빌게이츠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5년 안에 AGI 세상이 올 것"과 "인간의 삶의 방식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러한 그도 자녀2023.12.17@ 김경수
-
[칼럼] 세계인권선언일에 생각하는 포용사회■신경구의 포용도시인류의 역사는 '인권보호 확대의 역사'이기도 하다. 1215년 '마그나 카르타'는 영국의 국왕이 법 위에 서지 않으며, 모든 자유민은 법의 보호를 받는다는 원칙을2023.12.10@ 신경구
-
[칼럼] AI로 인한 직업의 변화와 폴리매스-(30)■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0)"AI로 인해 모든 직업이 사라질 것이다", "25년 안에 인간은 더 이상 일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앞으로 10년 안에 AI가 모든 일자리의2023.12.03@ 김경수
-
[칼럼] 다수의 침묵이 파괴하는 포용사회■신경구의 포용도시1933년 나치가 독일의 총리로 임명될 당시,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이라고 자랑한 '바이마르 헌법' 체제를 갖고 있었다.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곧바로 나2023.11.26@ 신경구
-
[칼럼] 챗GPT의 역사와 미래■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29)작년 말, 챗GPT 출시로 일약 세계적 인물이 된 샘알트만이 출시 1주년을 앞두고 지난주에 오픈AI 이사회에서 전격 해고되었다. 불과 열흘 전에 '2023.11.19@ 김경수
-
[칼럼] 최소주의 의료가 만드는 포용도시■신경구의 포용도시2020년 초에 코로나19가 발생하자마자 한국은 높은 발병율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나라였다. 그러나 한국이 코로나를 효과적으로 차단해서 또 다시 세계의 주목을 받2023.11.12@ 신경구
-
[공연리뷰]안정성은 곧 예술적 풍부함으로광주시립발레단 제135회 정기공연 '지젤'
2023.11.09@ 이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