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시대, 가장 선진적이어야 할 선거 문화가 쓰레기로 흩어지고 있다.
대통령선거가 끝난 후 거리에는 현수막과 공보물이 잔해로 남아 있다. 선거마다 반복되는 풍경이지만 환경에 미치는 상처가 갈수록 깊어져 대책이 시급하다.
문제는 단지 미관 훼손이 아니다. 이들 홍보물은 대부분 소각 처리되며 대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재활용조차 어려운 소재로 쓰레기 산을 만들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광주·전남에만 160만 부가 넘는 공보물이 발송됐다. 전국적으로는 책자형과 전단형을 합쳐 4천800만 부가 넘는 선거 공보물이 제작됐다.
종이 1톤을 만드는데 평균 30년생 나무 17그루가 필요하다는 계산에 따르면, 이번 대선 공보물 제작에만 4만8천 그루에 달하는 나무가 베어졌다는 보도가 이어진다. 독도 면적의 2.5배의 숲이 사라진 것과 같은 환경 부담이다.
여기에다 선거 때마다 쏟아지는 폐현수막은 한 차례 선거에 1천 t을 넘는다. 10㎡ 크기의 현수막 한 장을 소각하면 6.28㎏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한 그루가 1년간 흡수할 수 있는 탄소량과 같다.
새 정부에서 선거 문화 제도개선 때 공보방식의 전환도 고민해주길 당부한다. 기후 위기 시대에 이 낡은 선거 문화, 과연 이대로 괜찮은지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기를 바란다.
정치란 결국 국민에게 책임지는 행위다. 유권자 눈에 호객하는 현수막보다, 다음 세대를 위한 숲 한 그루가 더 중요하다는 정치적 전환이 절실하다. 기후위기시대 더 늦기전에, 선거 방식부터 바꿔야 한다. 친환경 소재 의무화, 디지털 선거 홍보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시급하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