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달걀 한 판 8천원 시대, 특단의 민생대책 요구된다

@무등일보 입력 2025.06.10. 19:39

급격한 경기침체와 고물가가 동시에 덮치며 서민경제의 뿌리가 흔들릴 위기다.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표적인 서민 식탁 품목인 달걀 가격이 8천∼1만 원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지 달걀 값의 문제가 아니다. 생계의 최전선에서 버티는 자영업자와 서민의 생활 기반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경고다.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달걀 가격 급등세가 가파르다. 조류인플루엔자(AI)의 여파로 산란계수가 급감했고, 질병 등으로 생산량이 대폭 줄어든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연말까지 고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점이다. 전국 평균 산지 가격도 3월 이후 10% 이상 상승했다. 단기적 수급 불균형이 아니라 구조적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와 자영업자에게 전가되고 있다. 식당이나 제과업계는 원재료 부담에 허덕일 수밖에 없다.

가격을 즉시 전가할 수 없는 자영업자는 이윤을 줄이며 근근이 버텨야 한다. 소규모 빵집이나 분식집이 문을 닫는 악순환도 예상된다. 이대로라면 '달걀 파동'이 외식산업 전반의 도미노 위기로 번질 공산도 크다.

대통령도 나서 라면값, 달걀값을 언급하며 물가 대책을 지시했다.

새정부의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책을 당부한다.

물가 문제는 단순한 시장 변수가 아니라 정치의 책무다. 특히 서민 식탁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인 달걀 값 급등은 민생경제의 위기경보다.

당장 필요한 단기 처방과 함께 근본적인 대응에 나서주기 바란다. 고물가가 구조화되고 있는 지금, 최소한 달걀과 같은 기초 식재료에 대한 선제적 공급안정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조류질병에 대한 방역 체계 개선, 산란계 농가의 지원 확대, 사료비 지원 등 생산기반부터 회복시키는 중장기적 접근이 병행돼야 한다. 유통 단계의 담합과 비정상적 가격 인상도 철저히 점검하고 시정해야 한다.

달걀 값 급등은 세계적 경기여파에 윤석열 내란까지 덮치며 나라 경제가 밑바닥으로 곤두박질치고 있을을 보여주는 참담한 지표 중 하나다. 최상목 등 무능한 기회주의 관료들이 눈치나 살피느라 업무를 방기한 여파나 다름없다는 점에서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실효성 있는 정부', '효능감'을 식탁 물가로 보여주기 바란다.

새 정부 바라는 민생 과제 1순위가 물가 안정이라는 것을 잊어선 안되겠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