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참사 4년 흘렀지만...책임자 단죄·추모 공간 설치 제자리

입력 2025.06.09. 17:58 박승환 기자
책임자 처벌·추모공간 조성 미진
목숨 앗아간 유사 참사 반복
"돈보다 생명·안전 우선인 나라 되길"
9일 오후 광주 동구청 앞 광장에서 학동참사 4주기 추모식이 열렸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철거 중이던 건물이 무너지며 시내버스에 탑승해 있던 승객 9명이 숨진 광주 학동참사가 발생한 지 4년이 흘렀다.

그러나 불법 하도급 등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전형적인 '인재(人災)'로 밝혀졌음에도 참사 책임자에 대한 처벌과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추모공간 조성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았다.

그사이 화정아이파크 붕괴참사부터 이태원 참사, 제주항공 참사까지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유사 참사는 반복됐다.

유가족들은 기억하지 않는 참사는 반복된다며 조속한 추모공간 마련과 돈보다 생명과 안전이 우선인 나라로 변하기를 바랐다.

광주학동참사유가족협의회는 9일 오후 4시10분께 광주 동구청 앞 광장에서 학동참사 4주기 추모식을 열었다.

추모식에는 유가족과 강기정 광주시장,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안도걸(광주 동남을) 더불어민주당 의원, 임택 광주 동구청장을 비롯한 정치인, 4·16 재단,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 공연으로 시작한 이날 추모식은 추모 묵념, 헌화, 추도사, 유가족 인사말 순으로 진행됐다.

이진의 광주학동참사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추도사에서 "평범했던 어느 날 무너진 건물과 함께 한순간에 소중한 가족을 잃었다"며 "하지만 지난 4년 동안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반성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 이 공동대표의 말처럼 학동참사 책임자 중에서 현재 처벌이 확정된 사람은 없다. 참사 당시 굴착기를 운전했던 재하도급업체 대표부터 원청인 HDC현대산업개발(이하 현산) 현장소장까지 피고인들 모두 항소심 판결에 불복해 상고하면서 대법원이 법리 검토를 진행 중이다.

또 현산은 여전히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산은 학동참사 불과 7개월 뒤 화정아이파크 붕괴참사도 일으켰다. 최근 서울시로부터 영업정지 1년 처분을 받았지만 법원이 현산의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서 공사를 계속 수주받고 있다.

아울러 추모공간도 지난해 밑그림만 나왔을 뿐 구체적인 조성 계획에 대해 아무것도 공개되지 않았다.

참사 버스인 운림54번 버스도 영구 보존이라는 방향만 잡혔을 뿐 전시 장소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광주 북구 각화정수장 창고에 방치돼 있다.

이날 추모식에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광주지역 야7당은 이재명 정부와 국회에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촉구하기도 했다.

야7당 대표들은 "더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비극이 우리나라에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통해 안전이 기본이 되는 사회를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앞서 지난 2021년 6월 9일 오후 4시22분께 광주 동구 학동4구역 재개발 공사현장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무너져 내리며 인근 정류장을 지나던 운림54번 시내버스를 덮쳐 승객 9명이 숨지고 버스기사 등 8명이 다쳤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