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반영 안된 지킴이집 多
활동 지속할 유인도 부족해

위험에 처한 아동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마련한 아동안전지킴이집이 관리 부재로 전시행정으로 전락하고 있다. 올해로 시행 16주년을 맞았지만 지킴이집이 매년 줄고 있는데다 운영 중인 곳도 홍보 부족으로 여전히 제 역할을 못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29일 광주경찰청 등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광주지역 내 아동안전지킴이집은 총 241곳이다.
지킴이집은 지난 2008년 안양시에서 일어난 초등학생 유괴·살인 사건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도입됐다.
통학로와 문구점, 편의점, 약국 등 학생들과 유대감을 가지고 사명감이 있는 시민들의 참여로 아동에게 안전한 생활구역을 만든다는 목적이다.
하지만 지킴이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아동의 안전을 제대로 책임질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실제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지킴이집 수는 2020년 276개소에서 2021년 303개소로 잠시 증가세를 보인 후 2022년 271개소, 2023년 248개소, 2024년 241개소로 지속적 감소세를 보인다.
문제는 지킴이집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내 지킴이집은 '안전Dream' 누리집을 통해서 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수년 전에 폐업 한 점포가 검색되는 등 최신 현황이 반영되지 않아 시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실제 광주 북구 오치동의 한 아파트단지 슈퍼마켓은 사라진 지 오래였고, 동구 계림동의 한 24시 편의점 역시 지난 2022년 폐업 후 사라진 상태지만, 해당 누리집에는 이용 가능한 지킴이집으로 검색되고 있다.
만약 위험에 처한 아동이 이렇게 폐업된 장소로 향하게 된다면 끔찍한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최근 아동 학대 등 어린이 안전을 위협하는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르고 있음에도 정작 지킴이집에 대한 정부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광주시 내 지킴이집에 배정된 예산은 연 2천760만원에 불과했다.

현재 241개소가 등록돼 있음을 감안하면, 지킴이집 한 곳당 10만여원에 불과한 예산이 책정된 셈이다. 게다가 해당 예산은 각 아동안전지킴이집에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홍보, 교육, 현장점검 등에 쓰이고 있어 지킴이집 업주들은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한 문구점 주인 김모(60)씨는 "아동안전지킴이집 활동을 하게 되면, 매년 두어번씩 점검을 받아야 하고, 교육도 받아야 하는 등 영업에 불편한 점이 생긴다"며 "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제로(0)에 가까운 실정이다 보니 점차 지킴이집을 이탈하는 사람들이 느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매년 상·하반기에 지킴이집 점검 현황을 업데이트하는데, 각 점검 기간 사이에 폐업하거나 이사하는 경우, 업주가 바뀌는 경우 등 수시로 변경사항이 생겨 누리집 반영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며 "생업에 종사하고 있는 지킴이의 특성을 고려해 생활용품 지급 등으로 유인을 높이고, 홍보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고 말했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종합] 상무역 침수로 농성~광주송정간 운행 중단 광주도시철도1호선 상무역이 17일 오후 6기 기준 침수된 모습. 광주시 제공광주지역에 발생한 집중 호우로 인해 광주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이 침수되면서 무정차 통과 중이다. 이에 따라 농성역~광주송정역 구간은 운행하지 않는다.광주시와 광주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광주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 역사 내부에 빗물이 대량으로 흘러들어오는 침수 피해를 입었다. 그러면서 안전상의 이유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상태다. 이날 광주시는 최대 시간당 80㎜에 이르는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현재 시민들이 진입할 수 없게 직원들이 안내 중이다.이에 따라 도시철도 1호선은 ▲소태역~농성역 구간 ▲광주송정역~평동역 구간으로 나뉘어 '구간 운행' 체제로 전환됐다. 지하철 운행이 멈춘 곳은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공항역, 송정공원역 등 7개 역이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통화에서 "현재 상무역에는 시민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출입구 앞에 직원들이 배치돼 안내하고 있다"며 "역사 내부에 유입된 물을 정리 중이지만, 정확한 복구 시간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추가 점검 후 운행 재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현재 광주에는 호우경보가 발효 중이며 각지에서 침수와 낙하물 등 피해가 접수되고 있다. 특히 이번 침수로 인해 상무역 인근 상무지구 일대 교통 혼잡과 시민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도시철도공사는 향후 운행 재개와 노선 조정 등 변동 사항이 생길 경우 별도 공지를 통해 신속히 알릴 방침이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도로는 도시 얼굴인데"... 세계양궁대회 맞춰 지하철 도로포장 문제 없을까?
- · 침수·범람·정전·대피···광주·전남 삼킨 '폭우'
- · 무등일보 기획 '이상기후 경고', 정부·지자체 대응 끌어냈다
- · "넘어지고, 탈출하고"···물폭탄 날벼락에 시민들 '두려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