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응답 많아 1천700여명 이를지도
안정장비·일자리 지원에 사각지대

"박스 줍는 것이 무슨 자랑이라고 이름까지 밝히겠어. 다들 입에 풀칠이라도 할라고 억지로 하는데…"
폐지 줍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안전 장비와 노인 일자리 제공 등 다양한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정작 고물상에도 이름 남기기를 꺼리는 노인들이 많아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다.
실제 광주시와 각 지자체에서 전수조사를 토대로 지역내 폐지 줍는 노인들에게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야광조끼 등 안전 장비를 제공하고 있지만 혜택을 받지 못한 노인들이 위험천만한 도로 위를 맨몸으로 다니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 19일 오전 광주 북구 두암동 한 고물상 앞으로 폐지를 잔뜩 실은 리어카가 쉴 새 없이 오갔다.
추석 연휴 동안 모은 폐지를 팔기 위해 노인들이 손수 리어카를 끌고 모였다.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도로의 한쪽 차선에 걸쳐 위험하게 오가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노인들이 더운 낮 시간대를 피해 새벽과 저녁에 활동하는 만큼 출퇴근길 교통체증 유발은 물론 야간 사고에 위험에 노출돼 있다.
특히 최근 지자체에서 안전 확보를 위해 반사필름이 부착된 안전조끼 등을 배부하고 있지만 이는 전수조사를 통해 확보된 명단에 한해 지원되기 때문에 홍보 미흡이나 이름을 밝히기 꺼려 응답하지 않은 노인들은 이 같은 혜택을 볼 수 없다.

폐지 줍는 이모(80·여)씨는 "우리라고 도로로 가고 싶어서 위험하게 가겠나. 자전거 도로라도 잘된 곳이면 상관없지만 인도가 좁은 곳은 지나갈 수 없어서 부득이하게 차도로 다닌다"고 말했다.
현재 광주시와 5개 자치구가 파악한 폐지 수집 노인은 총 607명이다.
구별로는 동구 130명, 서구 65명, 남구 112명, 북구 200명, 광산구 100명이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야광 조끼 등을 제공하거나 폐지수집 대신 재활용품 선별 작업 시 경비를 지원하는 자원재생활동단을 모집했지만 전체 폐지 수집 노인의 13%인 79명만이 참여했으며,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는 노인들도 있어 아무런 지원없이 리어카를 끌고 도로에 나서는 이들도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실태조사에서도 미신고 고물상과 납품 노인 추정치 등을 반영해 지난해 광주의 폐지 수집 노인을 1천761명으로 추정했다.
남모(83)씨는 "기존에 받는 지원금을 못 받거나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서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았다"며 "생계비에 10만원, 20만원이라도 보태려고 하는건데 대부분 몸이 허락한다면 시간될 때마다 폐지 줍겠다고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폐지 수집 노인들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지원 정책 안내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규모 파악이 선행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관계자는 "어르신들이 대상이다 보니 각 지자체에서도 일자리 사업 참여자 모집이나 지원 내용 안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노인 일자리 사업과 차별화 되는 폐지 수집 노인 연계 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종합] 상무역 침수로 농성~광주송정간 운행 중단 광주도시철도1호선 상무역이 17일 오후 6기 기준 침수된 모습. 광주시 제공광주지역에 발생한 집중 호우로 인해 광주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이 침수되면서 무정차 통과 중이다. 이에 따라 농성역~광주송정역 구간은 운행하지 않는다.광주시와 광주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광주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 역사 내부에 빗물이 대량으로 흘러들어오는 침수 피해를 입었다. 그러면서 안전상의 이유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상태다. 이날 광주시는 최대 시간당 80㎜에 이르는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현재 시민들이 진입할 수 없게 직원들이 안내 중이다.이에 따라 도시철도 1호선은 ▲소태역~농성역 구간 ▲광주송정역~평동역 구간으로 나뉘어 '구간 운행' 체제로 전환됐다. 지하철 운행이 멈춘 곳은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공항역, 송정공원역 등 7개 역이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통화에서 "현재 상무역에는 시민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출입구 앞에 직원들이 배치돼 안내하고 있다"며 "역사 내부에 유입된 물을 정리 중이지만, 정확한 복구 시간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추가 점검 후 운행 재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현재 광주에는 호우경보가 발효 중이며 각지에서 침수와 낙하물 등 피해가 접수되고 있다. 특히 이번 침수로 인해 상무역 인근 상무지구 일대 교통 혼잡과 시민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도시철도공사는 향후 운행 재개와 노선 조정 등 변동 사항이 생길 경우 별도 공지를 통해 신속히 알릴 방침이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도로는 도시 얼굴인데"... 세계양궁대회 맞춰 지하철 도로포장 문제 없을까?
- · 침수·범람·정전·대피···광주·전남 삼킨 '폭우'
- · "넘어지고, 탈출하고"···물폭탄 날벼락에 시민들 '두려워'
- · 美 소고기 수입 논란 증폭되나···"수입계획 철회해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