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이용 불편해 안하는 사람 多
주차공간 부족해 불법주정차하기도
"너무 좁고, 멀고, 차 빼기도 힘들어서 그냥 길에다 주차해요."
광주시와 자치구에서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등 불법주정차 근절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의 막무가내식 불법주정차가 횡행하면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된다.
9일 오전 광주 남구 서동공영주차장.
장애인 주차공간을 제외한 전체 7개 주차면수 가운데 2곳이 비어있음에도 주차장 맞은편 주차 금지구역에 버젓이 불법주정차가 돼 있다.
이곳은 바로 초등학교와 맞닿아 있어 스쿨존으로 지정된 곳이었지만, 교차로 부근에도 SUV와 승용차 등 불법주정차로 사각지대가 생겨 학생들의 안전에도 위협이 됐다.
이곳에서 걸어서 7분 거리에 위치한 광주향교 공영주차장도 마찬가지였다.
20여면으로 조성된 주차장에 빈자리가 있는데도 그늘진 자리나 출입구 근처에 불법주정차 한 차량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30대 김모씨는 "여름이라 그런지 나무 밑 등 그늘이 지는 곳을 찾아 주차하거나 차를 넣고, 빼기 쉬운 출입구 쪽을 선호해서 이중주차하는 경우가 잦아 규정에 맞춰 주차를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손해를 본다"며 "어떤 차들은 번호 조차 남기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도 많다"고 토로했다.
중장비 특수차량들 역시 불법주정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골이다.
9일 오전 남구 서동 대성초교 사거리는 인근에 공영주차장이 2군데나 조성돼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주차 차량이 도로가를 채웠다.
같은 날 남구 서동 대성초교 사거리 인근에는 공영주차장이 2곳이나 있음에도 도롯가에 건설장비차량들이 줄지어 주차 중이었다.
비슷한 시각 남구 양림동 184면 규모의 양림역사마을공영주차장 역시 내부가 텅텅 비어 있는데도 운전자 대부분이 점포 앞이나 인근 길가에 주정차했다.
상당수 운전자들이 공영주차장과 목적지 간의 거리가 멀다거나 주차요금을 아끼기 위해 불법주정차를 일삼고 있어 정작 수억원을 들여 조성된 공영주자장은 텅텅 빈 채로 운영되고 있다.
한상원(33)씨는 "가고자 하는 카페에 주차 자리가 없어 그냥 인근 도로에 차를 댔다"며 "공영주차장은 (카페에서) 너무 멀고 시간이 지나면 돈을 내야 해서 이용을 잘 안 한다"고 했다.
반대로 공영주차장의 주차면수가 부족해 불법주정차가 심각한 곳도 많았다.
서구 농성동 공영주차장과 농성1동 주거환경개선지구 주차장의 경우 각각 171면과 26면에 달하는 주차공간을 가지고 있음에도 주택가에 자리하고 있어 늘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공영주차장 인근 불법주정차가 끊이지 않고 있다.
김병규(54)씨는 "주택이 밀집된 지역이다 보니 주차공간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불법주정차가 일상이 되다 보니 보행자나 운전자 모두에게 위험한 공간이 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시에 따르면 관내 공영주차장 총 면수는 1만7천888면으로 관내 차량 등록 대수인 72만3천256대의 약 2.5%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올해 3월부터 진행중인 공영주차장 확보 사업이 이제 주차장 설계 용역 단계에 들어섰다"며 "비록 차량 수에 비해 아직 부족하나, 공영주차장 수가 늘어나면 접근성과 주차면수 등 여러 면에서 조금씩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지자체 차원에서 주차공간 확보에 많은 노력을 하겠지만 불법주정차를 하지 않으려는 성숙한 시민의식도 높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지원 사각지대 속, '폐지 수집 노인' 도로로 내몰린다 19일 오전 광주 북구 두암동의 한 도로. 고물상에 폐지를 팔고 나온 노인이 도로 한쪽 차선에서 리어카를 밀고 있다. "박스 줍는 것이 무슨 자랑이라고 이름까지 밝히겠어. 다들 입에 풀칠이라도 할라고 억지로 하는데…"폐지 줍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안전 장비와 노인 일자리 제공 등 다양한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정작 고물상에도 이름 남기기를 꺼리는 노인들이 많아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다.실제 광주시와 각 지자체에서 전수조사를 토대로 지역내 폐지 줍는 노인들에게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야광조끼 등 안전 장비를 제공하고 있지만 혜택을 받지 못한 노인들이 위험천만한 도로 위를 맨몸으로 다니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지난 19일 오전 광주 북구 두암동 한 고물상 앞으로 폐지를 잔뜩 실은 리어카가 쉴 새 없이 오갔다.추석 연휴 동안 모은 폐지를 팔기 위해 노인들이 손수 리어카를 끌고 모였다.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도로의 한쪽 차선에 걸쳐 위험하게 오가고 있다는 것이다.대부분의 노인들이 더운 낮 시간대를 피해 새벽과 저녁에 활동하는 만큼 출퇴근길 교통체증 유발은 물론 야간 사고에 위험에 노출돼 있다.특히 최근 지자체에서 안전 확보를 위해 반사필름이 부착된 안전조끼 등을 배부하고 있지만 이는 전수조사를 통해 확보된 명단에 한해 지원되기 때문에 홍보 미흡이나 이름을 밝히기 꺼려 응답하지 않은 노인들은 이 같은 혜택을 볼 수 없다.폐지 줍는 이모(80·여)씨는 "우리라고 도로로 가고 싶어서 위험하게 가겠나. 자전거 도로라도 잘된 곳이면 상관없지만 인도가 좁은 곳은 지나갈 수 없어서 부득이하게 차도로 다닌다"고 말했다.현재 광주시와 5개 자치구가 파악한 폐지 수집 노인은 총 607명이다.구별로는 동구 130명, 서구 65명, 남구 112명, 북구 200명, 광산구 100명이다.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야광 조끼 등을 제공하거나 폐지수집 대신 재활용품 선별 작업 시 경비를 지원하는 자원재생활동단을 모집했지만 전체 폐지 수집 노인의 13%인 79명만이 참여했으며,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는 노인들도 있어 아무런 지원없이 리어카를 끌고 도로에 나서는 이들도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앞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실태조사에서도 미신고 고물상과 납품 노인 추정치 등을 반영해 지난해 광주의 폐지 수집 노인을 1천761명으로 추정했다.남모(83)씨는 "기존에 받는 지원금을 못 받거나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서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았다"며 "생계비에 10만원, 20만원이라도 보태려고 하는건데 대부분 몸이 허락한다면 시간될 때마다 폐지 줍겠다고 할 것이다"고 말했다.이 때문에 폐지 수집 노인들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지원 정책 안내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규모 파악이 선행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한국노인인력개발원 관계자는 "어르신들이 대상이다 보니 각 지자체에서도 일자리 사업 참여자 모집이나 지원 내용 안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노인 일자리 사업과 차별화 되는 폐지 수집 노인 연계 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명절 끝나자 광주 곳곳 쓰레기 '몸살'
- · 법무 차관 김석우·대검 차장 이진동···"검찰 조직 안정"
- · 전남대병원·화순전남대병원, 美 뉴스위크 '세계최고 전문병원' 선정
- · 법원 "친권 주장에도 미성년 자녀 의사 우선···양육환경 유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