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월 학교 단위 참여 접수
전문 교육에 지난해 호응 뜨거워
어린이 워크숍도 예약 매진 사례

전남도립미술관이 자라나는 미래세대에 즐거운 미술 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 어린이부터 청소년에 이르는 교육프로그램은 각 연령대에 알맞게 가동되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전남도립미술관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연계 진로탐색 교육프로그램 '미술관 사람들'을 6월 3일부터 12월 2일까지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도립미술관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운영하는 것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진로 탐색 중심의 교육 흐름을 반영해 개발된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해 참여한 학교, 청소년들로부터 전문 기관에서 다양한 직업군을 직접 체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호응을 받은 바 있다.
올해는 지난해에 운영한 '큐레이터' '전시 디자이너' 과정에 더해 '컨서베이터(보존 전문가)' 과정을 추가해 꾸려졌다.

참여 청소년들은 조별 활동을 통해 전시 기획과 디자인, 작품 복원 등 미술관 속 다양한 직무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같은 활동은 청소년들이 미술관 내 다양한 전문 직업군과 전시 뿐만 아니라 교육, 보존 등 미술관의 다양한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참여는 15~30명 단위의 청소년 단체면 가능하며 참여를 원하는 학교는 세 과정 중 하나를 선택해 4~11월 중 이메일이나 공문으로 신청하면 된다.
앞서 도립미술관은 현재 열리고 있는 '강종열_동백, 시간의 얼굴' 전과 연계한 어린이 창작 워크숍을 지난달 29일부터 매주 토요일마다 진행 중이다. 6~12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워크숍은 김성희 작가와 전시 작품을 감상하며 작품 속 동백과 새, 달, 나무에 담긴 이야기를 탐구한 후 표현주의 기법을 적용한 나만의 작품을 창작하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5월 24일까지 이어지는 이 워크숍은 운영에 앞서 지난달 17일 참여 신청을 오픈, 불과 며칠 만에 예약이 가득차 현재는 예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앞선 상·하반기 어린이 주말 교육프로그램도 참여 신청 빠르게 마무리 되는 등 지역 부모들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다. 도립미술관에 따르면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 예약 오픈 1시간이면 날짜의 80%는 마감된다. 지난해 초 상반기 교육프로그램 예약 오픈 때는 3천명 이상 몰려서 홈페이지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다고.
이번 전시 연계 창작 워크숍 뿐만 아니라 지난 상반기에는 설박, 하반기에는 박성완·이인성 등 지역 청년 작가를 강사로 초빙해 운영, 현직 작가와 함께 아이들이 직접 오리고 그리는 등의 활동 중심의 미술 교육을 받을 수 있어 인기가 뜨거운 것으로 분석된다.
이지호 도립미술관 관장은 "앞으로도 도립미술관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미적 감수성과 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전국서 모인 뮤지션들 오월을 노래한다 상설음악회 오월의 노래 공연 장면.사단법인 오월음악 제공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전국에서 모인 45개 음악팀들이 5월 한달동안 시민들과 오월 정신을 노래한다.㈔오월음악는 오는 5월1일부터 31일까지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 상설무대에서 '2025 상설음악회, 오월의 노래(이하 오월의 노래)'를 진행한다.'오월의 노래'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열렸던 '거리음악제'의 명맥을 잇는 행사로, 2015년부터 매년 5월 시민군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5·18민주광장에서 이어지고 있다.올해도 5월 한달동안 매일 오후 7시 30분부터 8시 50분까지 전국에서 모인 45개 음악팀이 무대에 오른다.다양한 인디뮤지션들의 공연이 펼쳐질 뿐만 아니라,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체험행사가 마련돼 어린이날이 포함된 5월 3~5일에는 시민 참여 무대인 '오픈 마이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된다.10일 개막행사에는 바투카다 공연단 '까미뉴 다 비다'의 거리 행진 퍼포먼스와 더불어 탄핵 집회를 이끌었던 가수 백자와 지난해 '오월의 노래' 연출진이 무대의 시작을 알린다.11일부터는 최고은, 하이 미스터 메모리, 집시유랑단, 언제나봄, 류의남, 프롤로그, 김국주 밴드 등 지역을 넘나드는 여러 장르의 뮤지션이 함께 한다.여기에 광주 노동자 노래패 연합, 푸른솔 시민 합창단 등 시민 음악팀과 크램블 등 청소년 밴드, 광주 민중음악을 이끄는 박종화, 김원중 등이 출연해, 세대와 지역을 넘어 각각의 특색이 담긴 오월을 노래한다. 광주지역 인디뮤지션으로 이뤄진 '오월의 노래' 기획단에서도 우물안개구리, 거봉악단, 바닥 프로젝트 등 다섯팀이 직접 무대에 오른다.다만 17~18일은 제45주년 5·18전야제 및 각종 기념행사가 진행되고, 24일은 제15회 전국 오월창작가요제 본선이 치러져 '오월의 노래' 무대는 열리지 않는다.㈔오월음악 관계자는 "올해 상설음악회 '오월의 노래'에는 지역과 세대를 넘어 다양한 특징을 지닌 뮤지선들이 참여한다"며 "기존에는 민중가요로만 상징되는 항쟁의 노래가 이제는 시민들의 감성을 투과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 한다"고 전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소리 없는 목소리, 오월을 읽다
- · 지난 겨울 상처 치유하는 인문학 축제
- · 화사한 꽃에 담은 봄소식
- · 크라운해태, 광주시민위한 '한음회' 공연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