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화흠·양계남·윤재우·천경자
전남 출신 작가 11점 선봬
기증 문화 의미·가치도 확산

지난 2020년 10월 故이건희 삼성 회장이 소장하고 있는 수만 여점의 컬렉션이 국가와 국공립미술관에 기증되며 온 나라가 떠들썩했다. 국가와 시대를 막론하고 동서양의 이름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 대거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술 뿐만 아니라 기증 문화는 조명 받기 시작했고 점차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 미술계는 이러한 분위기를 반겼지만 기증 문화의 지속성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부족하다. 여전히 기증자나 기증작품에 대한 예우는 부족하고 수장고로 들어간 작품은 언제 세상 밖으로 나올지 모르는 상태인 것들이 많다.
이같은 분위기 속 전남도립미술관은 지난 2021년 기증전용관을 오픈, 기증작을 중심으로 한 전시를 1년마다 선보이고 있어 눈길을 모은다. 기증자에 대한 예우를 갖추고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기 위한 것으로 기증작품에 대한 재조명까지 이뤄지고 있다.
올해는 남도의 풍경을 다양하게 표현한 4명의 지역 출신 작가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전시를 열고 있다. 지난 7일 오픈한 2025 기증작품전 '바람 빛 물결'이다.

지난해 기증작품전 '시적추상'에 이어 펼쳐지는 이번 전시는 전남 출신의 고화흠, 양계남, 윤재우, 천경자 네 작가의 작품 11점으로 꾸려졌다. 작품은 남도의 자연과 풍경을 주제로 한 것들로 그대로 재현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언어로 재해석해 표현, 네 작가의 각기 다른 작품 세계 속 남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구례 출신의 고화흠의 작품은 '무제' '백안' 등이 관람객과 만난다. 고화흠은 부서지는 파도의 물결과 모래사장을 은백색으로 표현한 '백안' 시리즈 등으로 남도의 자연에서 시작해 서정적 추상 작품을 선보여온 인물로 남도 풍경에 대한 인상, 색채에 집중할 수 있다.
보성 출신으로 전남권 최초 한국화 전공 여성 교수라는 타이틀을 지니고 있는 양계남은 자수에서 모티브를 얻어 세필로 자연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독특한 준법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같은 그의 독특한 표현법을 계절과 함께 느낄 수 있는 '넉넉한 겨울' '오월은 여름일레라'가 선보여진다.

대상을 단순화한 대신 화려한 색채로 물들이며 새로운 시선을 담아내는 강진 출신의 윤재우의 작품은 '추경' '탐라철쭉'등이 전시장으로 나와 봄, 가을을 물들이는 아름다운 계절 색감을 선사한다.
고흥 출신의 천경자는 전통 채색화를 기반으로 화려한 색채를 사용해 환상적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을 작업해왔다. 전시에서는 그가 고흥에서 자라던 어린 시절, 항구에서 물고기를 가득 잡아온 만선을 보고 느낀 기쁨을 화려하게 표현한 '만선'을 비롯해 '화혼' 등 이건희 컬렉션을 통해 고향의 품으로 안긴 작품 등을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지역 출신의 작가 작품을 통해 남도의 아름다움과 우리 지역 미술을 확인하는 자리로도 의미가 크지만 기증 작품을 함께 향유하며 기증의 의미를 조명하고 활성화하며 기증자에 대한 예우를 갖춘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전시가 이뤄지는 상설기증전시관 또한 이같은 맥락에서 운영, 도립미술관은 작품을 나열하는 것에서 벗어나 전시를 기획해 다양한 관점에서 해당 작품들의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도립미술관은 현재 566점의 소장품 중 27.9%인 158점이 기증작품으로 이 중 120여점은 전남 지역 출신 작가의 작품으로 남도 미술의 흐름을 조망하고 연구하는 중요 컬렉션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작품기증은 단순히 작품을 많은 사람과 향유한다는 것에서 나아가 지역사를 연구하는 주요 자원을 공유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지호 도립미술관 관장은 "이번 전시가 작품의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림과 동시에 기증 문화의 활성화, 문화 자산의 사회적 환원 확산을 이루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며 "또 관람하는 분들은 지역 미술사의 흐름을 한눈에 조망하고 자연을 주제로 한 이 지역 작가들의 예술적 탐구를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무료이며 내년 2월 9일까지 이어진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폐기물 악기가 전해주는 선율 신기해요" 지난 14일 광주 남구 양림동 '10년후 그라운드'에서 열린 에든버러 프린지 축제 후원음악회에서 플라스틱 콰르텟이 연주하고 있다. 버려진 폐기물로 악기를 만들고 연주하는 아티스트 단체 '크리에이티브아트'가 후원음악회를 통해 자신들의 음악을 관객들에게 선보였다.크리에이티브아트는 지난 14일 오후 광주 남구 양림동 '10년후 그라운드'에서 에든버러 프린지 축제 후원음악회 'UPCYELD MUSIC'을 열었다.이날 행사는 오는 8월 영국에서 열리는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기 위한 후원비를 모금하기 위해 진행됐다. 크리에이티브아트는 폐기물을 재활용한 악기로 '업사이클 뮤직'이라는 장르를 선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영국 공연기획사 'C VENUES'를 통해 페스티벌 초청을 확정했다.이날 공연에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이승규 대표와 플라스틱 콰르텟(바이올린 황란아·김용상, 비올라 양윤서, 첼로 김도영), 유니크첼로 콰르텟(박효은·김가영·김성복·정아름)이 나섰다.이들은 멸종위기 동물을 주제로 한 '잃어버린 동물의 사육제', 여름과 겨울 밖에 없는 기후위기 상황을 빗댄 '이계, The Two Seasons', 우리들의 내면을 돌아보자는 의미를 담은 '위로'와 '힘'등 이 대표가 작곡한 곡들을 연주했으며, 각 주제에 맞는 감미로운 멜로디와 인상적인 연주로 관객들의 박수를 이끌어 냈다.지난 14일 광주 남구 양림동 '10년후 그라운드'에서 열린 에든버러 프린지 축제 후원음악회에서 유니크첼로 콰르텟이 연주하고 있다.이 외에도 플라스틱 콰르텟과 유니크첼로 콰르텟은 비틀즈의 'I Will'(아이윌), 마이클 잭슨의 'Heal The World'(힐더월드), '베사메무초' 같은 유명곡들을 연주했다. 관객들에게 귀익은 선율을 통해 기존 악기와 '업사이클 악기'의 차이점을 알리는 데 뜻을 둔 선곡이었다.아이들이 버린 장난감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콰르텟의 악기들은 나무와 금속의 중간 '물성'을 지니고 있어 명료한 울림을 들려주고, 농약분무기통을 재활용한 유니크첼로는 저음이 약하고 고음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이날 공연에는 50여명이 관객이 1층 홀을 가득 채웠다.나주 빛누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임윤(11), 임설(9)양은 "버려진 쓰레기가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했다"며 "앞으로 분리수거를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최하은(60·여)씨는 "업사이클 뮤직이라는 개념도, 이런 공연이 있다는 것도 오늘 처음 알았는데 긍정적인 충격을 받았다"며 "K팝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예술이 퍼져나가면 좋을텐데 에든버러에서도 충분히 박수받을 만한 공연이다"고 평가했다.이승규 크리에이티브아트 대표는 "우리에게 아름다움은 오랫동안 학습된 고정관념과 같다. 쓰레기로 만든 악기로도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공연을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깨닫는 것과 동시에, 상처받고 버려진 우리 내면도 다시 아름답게 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느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한편 크리에이티브아트는 해외 체류비, 현지 대관료 등을 모으기 위해 지난달 28일과 지난 14일 두차례 걸쳐 후원음악회를 열었으며 텀블벅후원과 기업후원도 받고 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다양한 관객 만날 수 있어 감사"
- · AI는 논리적이고 형체없는 존재일까
- · 극단 진달래피네, 광주 대표로 대한민국연극제 나선다
- · '국악이 좋다'···신명나는 축제마당으로 초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