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고객 제공 할인 쿠폰 없애고, 가게 포장 등 반발
"낮은 중개수수료, 광고비 없는 '공공배달앱' 전환을"

"배달의민족을 통한 포장 건당 10% 이상의 수수료가 나가고 있어요. 수수료 부담 때문에 포장 고객 할인 혜택까지 줄이게 됐고…수수료 횡포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무섭습니다."
광주 북구에서 분식점을 운영 중인 A씨는 배달의민족(이하 배민) 포장 주문 시 제공하던 3천원 할인 혜택을 최근 1천5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배민의 포장 서비스 유료화로 수수료 부담이 커져서다. A씨는 "배민의 포장 주문 중개료는 심지어 할인 전 금액에 적용된다"며 "배민 이외 다른 플랫폼들에는 포장 주문 시 3천원 할인을 유지한다"고 하소연했다.
배달플랫폼 업계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배민이 포장 주문 중개료를 받기 시작하면서 일부 점주들은 고객 할인 혜택을 줄이는가 하면, 배민 포장 주문을 취소시키는 등 반발하고 있다.
소비자들 역시 배민의 과도한 수수료 횡포에 이용이 꺼려진다는 반응이 나온다.
15일 지역 외식업계 등에 따르면 배민은 지난 14일부터 포장 서비스를 유료화해 포장 주문 건당 중개수수료 6.8%와 카드 수수료 3.3%로 총 10.1%를 받고 있다.
포장 주문은 한때 별도의 수수료가 없고 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어 점주들 사이에서 선호됐지만, 이제는 오히려 수수료 부담이 커지는 원인이 됐다.
남구의 한 패스트푸드음식점 사장 B씨는 "포장 주문 고객에게 제공하던 쿠폰을 빼게 됐다. 배민이 반경 1.5km 근거리는 무료배달을 해버리니, 이런식으로 포장 주문 혜택을 없애 자체배달을 강화하려는 게 아닌가 싶다"며 "배민이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고객들이 음식을 경험해 보시라는 차원에서 유지는 하고 있지만, 이후 가게로 배달 주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대체 어디까지 수수료를 받을지 무섭다"고 호소했다.
일부 점주들은 배민 앱 별도 공지를 통해 가게에서 직접 음식을 가져갈 수 있다며 대놓고 반발하기도 했다.
실제 이날 배민 앱을 살펴본 결과 포장 주문 서비스를 표시하지 않았더라도 알림 공간을 통해 가게에서 직접 음식을 가져갈 수 있다고 적어놓기도 했다.
소비자들 역시 커뮤니티 등 SNS를 통해 '수익이 날로 늘어간다는데, 어떻게 하면 수수료를 더 받아낼지만 고민하는 거 같아 이용이 꺼려진다', '배민이 포장재료 내는 것도 아닌데 웃기다', '물가상승에 앞장서는 선두기업' 등의 날선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염철승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 국장은 "점주들 입장에서는 수수료 부담이 있더라도 매출 때문에 당장 배민의 포장 주문 해지는 어려울 것"이라며 "외식업중앙회와 소상공인연합회, 배달 대행사 등이 연합해 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공공배달앱 전환 캠페인'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 공공배달앱인 '위메프오'와 '땡겨요'는 광주시 등의 지원을 통해 평균 2.0~2.5% 수준의 낮은 중개수수료를 유지하고 있으며, 별도의 광고비와 포장 주문 건에 대한 수수료가 없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산불·냉해 피해' 사과값, 작년 2배↑···상품은 품귀 광주 전통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과일들 모습. 사과 주산지인 경북 지역 대형산불과 냉해 피해가 겹치면서 사과와 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특히 개화기 산불 피해로 작황이 나빠진 사과는 수급 불안 우려 속에 한때 가격이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오르기도 했으며, 상품 품귀 현상과 사재기 조짐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광주 지역의 사과 상품 소매가는 10개당 최고 3만 4천100원을 기록했다. 가격이 평년(2만 5천756원)과 지난해(2만 5천650원)에 비해 2배 이상 오른 수준이다.사과 중품의 경우 10개당 최고 2만 4천433원에 판매돼 지난해보다 12.45% 올랐다.이처럼 사과 가격이 급등한 데는 재배면적 감소와 주산지인 경북 지역 대형산불로 인한 수급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올해 사과 재배면적은 3만 3천113㏊로 지난해(3만 3천313㏊) 대비 0.6% 감소했다. 게다가 국내 사과 재배면적의 58%가량을 차지하는 경북이 지난달 말 대형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경북도는 지난 2일 기준 산불로 인한 사과 주산 시군의 과수원 피해 규모를 3천386㏊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전국 사과 재배면적의 10% 규모에 달한다.사과나무는 자라서 열매를 맺기까지 보통 2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이번처럼 꽃이 피는 시기에 피해를 입으면 그을림 등으로 인해 향후 사과 생산량이 크게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이 같은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사과 사재기 조짐과 상품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실제 동구 대인시장에서 과일을 판매 중인 한 상인은 "산불 발생 후 일부 상인이 사과를 사서 쟁여두는 것을 봤다"며 "사과를 확보해 두려고 가격 경쟁을 하다 보니 판매가도 올라가고 있다. 심지어 공판장에서는 사과 경매가가 마음에 안 들면 안 팔고 가버리는 경우도 있다"라고 설명했다.또 다른 상인은 "상품 사과는 개당 5천 원이다. 현재 사과 20여 박스를 확보해 뒀다"며 "제사상 등에 올라가는 크고 예쁜 상품 사과는 요즘 구하기도 힘들고, 가격도 올라서 수요가 드물다"라고 말했다.배 역시 이달 들어 10개당 최고 4만 9천950원에 판매되면서, 지난해(4만 5천845원)와 평년(3만 9천29원) 대비 각각 8.9%, 27.9% 올랐다.배 가격 상승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냉해 피해가 꼽힌다. 저온에 민감한 배는 개화기 냉해 피해를 입으면 암술머리 고사, 꽃잎 갈변 등이 발생해 수확량이 줄고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배의 저온피해 신고 면적은 1천639㏊로 평년(5천278㏊) 대비 31.1% 늘었다. 이후에도 최근 나주, 대전, 충북 등 배 농가에서 냉해 피해가 발생해 피해 면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산불로 인한 그을림 등 간접 피해를 입은 경우 피해 정도에 따라 생육 관리를 통해 피해 영향 최소화가 가능하므로 사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산불 피해 이외 지역의 사과 생육단계는 현재 저온피해 등 없이 순조롭게 생육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이어 "배의 경우 현재까지 생육 상황은 평년보다 양호한 것으로 보이고 피해 지역도 적정 수준의 적화·적과 작업을 통해 적정 착과량 확보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유류세 인하폭 조정···소비자 부담 더 늘어난다
- · "취업난 뚫자" 청년·고교생 한자리에, 채용 열기 '후끈'
- ·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솔라시도 클러스터 조성 '핵심'
- · 숫자에 묶인 광천터미널 복합화···"결단 필요하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