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 ㈜헤드라인 대표이사, 초대 회장으로 취임
신규 비즈니스 발굴, R&D투자 등 지원 강화 방침
타지역 클럽과 네트워크 구축, 정부 기관과도 협력
이호준 광주IP경영인클럽 회장
한국발명진흥회 광주지회가 '광주IP경영인클럽'으로 새출발한다.
지역 회원사들이 모여있던 광주지회는 특허청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발명진흥회에 소속돼 지식재산 창출과 활용·보호를 통해 기업 성장을 지원해 왔다. 그러다 2020년 진흥회의 직원들을 중심으로 한 지부 체제로 바뀌면서 회원사들의 활동이 주춤해졌다. 이에 광주지회 회원사들이 모여 재정비차 '광주IP경영인클럽'으로 새로운 도약을 모색키로 했다.
광주IP경영인클럽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한 이호준 ㈜헤드라인 대표이사는 무등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발명가와 지식재산(IP) 경영인들이 모여 기업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글로벌시장까지 겨냥하는 새로운 운영 방식을 구축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히 이 회장은 특허·브랜드·디자인 권리 창출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 경험을 회원사들과 공유하고, 기업들이 IP를 활용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회원사들이 어려운 시장 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신규 비즈니스 발굴, R&D투자, 시장 진입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회원사들이 선행문헌 분석과 시장 탐색을 통해 시장의 돌파구를 찾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주IP경영인클럽이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국내외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타지역 클럽과의 협업과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광주지식재산센터 등 정부 기관과도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회원사 모집에도 적극나서 클럽의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겠다고 했다.
이 회장은 "2025년을 광주IP경영인클럽이 재도약하는 해로 만들겠다"며 "발명과 지식재산을 중심으로 회원사와 더불어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광주가 글로벌IP경영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회원사들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하고, IP경영인들과 발명가들에게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모임으로 만들겠다"며 "회원사 간 상생 사례를 다각도로 발굴하고 전파하며, 클럽 내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트럼프 2기 통상정책...지역 경제계도 예의주시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조립 중인 셀토스. 기아 제공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본격 출범하면서 '미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통상정책을 두고 지역 경제계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보편관세가 현실화되지 않은 데다 지역 내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등이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통상정책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황변화를 염두에 둔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21일 지역경제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우려했던 '관세 폭탄'을 시행하지 않고 부과가능성만을 열어뒀다.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글로벌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출범 전부터 제시해 왔다는 점에서 '불확실성'만 더욱 커진 상황을 지켜보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 외엔 이렇다 할 방안 마련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특히 광주·전남의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반도체와 전기차 등 큰 타격이 우려되는 분야와 연관성이 낮아 현재까진 '새로운 통상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낮을 것'이라는 반응도 나온다.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수출액 1천277억 8천647만 7천 달러 중 광주·전남 비중은 6.44% 수준인 82억 2천900만 달러에 불과하다.지역별로도 광주 수출액 중 대미 수출액은 전체 수출의 30.3% 수준인 47억 2천200만 달러이며 전남은 7.71%인 35억 700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여기에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역시 지역업체가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가 아닌 기아와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대기업 상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하지만 기아 오토랜드 광주 역시 미국 주력 수출 제품인 스포티지가 미국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고 있는 데다 관세 논란 가능성이 있는 멕시코 공장의 생산 차종과도 전혀 연관이 없어 현재로서는 지켜보는 것 외에 이렇다 할 대안 마련은 없다는 입장이다.'글로벌 스마트가전 생산거점'으로 마더팩토리 역할을 맡고 있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도 상황에 따른 대책 마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일각에선 보편관세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지역 경제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강조병 광주상의 기획조사본부장은 "지역 주력산업 구조가 완제품 생산 수출보단 부품 공급에 방점이 찍혀 있는 데다 피해 우려 산업이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고 봐야 한다"며 "아직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지역 업체들도 특별한 대책보단 상황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시, 전국기능경기대회 예산 '싹둑'···대회 차질 빚나
- · "주택시장 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역량 결집하겠다"
- · ‘고사 직전' 광주 관광업 "업종별·관광객 수송지원 등 시급"
- · 광주신세계, 금호아트홀 대신할 문화 공연장 검토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