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약 소비문화 변화·지역 소비 유출 등 원인
변화 필요성↑…점포 확장·리뉴얼 갈림길

코로나19에 따른 보복 소비가 꺾인 이후 광주지역 백화점들이 매출 부진을 만회하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따른 경기 침체 여파가 지속되면서 '욜로'(YOLO)와 '플렉스'(Flex)로 대표되는 소비 문화에 변화가 생긴 게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지역민들이 부산이나 대구, 대전 등 다른 지역에 위치한 대형 복합쇼핑몰로 '원정 쇼핑'을 하는 것과 반비례해 지역 내 백화점 소비는 되레 줄인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광주신세계와 롯데백화점 광주점 등 지역 내 대형 백화점과 쇼핑몰이 어떻게 '역성장'을 극복할 지 대책 마련에 관심이 쏠린다.
◆지역 백화점, 심상찮은 매출 하락세
7일 지역 유통업계에 따르면 광주신세계와 롯데백화점 광주점의 매출 역주행이 멈추질 않고 있다.
광주신세계는 올 상반기 매출이 4천7억9천900만원을 기록해 지난해 상반기(4천98억1천500만원)와 비교해 2.2% 줄었다.
같은 기간 롯데백화점 광주점의 매출 하락 폭은 광주신세계보다 2배 이상 컸다. 롯데백화점의 올 상반기 매출은 1천311억2천100만원이다. 지난해 상반기 매출은 1천388억5천500만원으로 5.6%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여파에 따른 '보복 소비', '플렉스 소비'(자신의 성공이나 부를 뽐내거나 과시)가 절정을 이루던 2022년 이후 급격하게 소비가 꺾인 탓이다.
실제 광주지역의 산업활동동향을 살펴보면 광주지역의 연도별 백화점 판매액 지수는 2020년 89.5, 2021년 106.3, 2022년 125.3, 2023년 117.0, 지난달 106.3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지역 백화점 관계자들은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명품 소비가 줄어들면서 상황이 더욱 어렵게 됐다고 입을 모았다.
코로나19가 창궐하던 초창기에는 해외 여행 등이 막히며 큰돈을 소비하는 데 제약이 걸렸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면서 일명 '보복 소비'로 사치품을 사거나 호캉스를 즐기는 '플렉스'(재력 과시), '욜로'(인생은 한 번뿐) 소비 열풍이 불었다. 이후 반대로 부동산 경기 악화 등 경기 침체로 절약·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가격이 저렴한 상품을 판매하는 이커머스들이 인기를 얻는 등 소비문화가 변화한 게 가장 큰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이다.
◆광주민, 지역 백화점 떠나 '역외 쇼핑' 심각
무엇보다 대규모 신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데다 백화점이 일명 '복합쇼핑몰'로 전환이 급격히 이뤄지고 있는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면서 지역민들이 낡은 지역 백화점을 떠나 규모도 크고, 브랜드도 훨씬 다양한 타 지역으로 '원정 쇼핑'을 가고 있다.
한국관광데이터랩을 살펴보면, 광주의 경우 2019년 3천13억원이었던 대형쇼핑몰 소비가 2023년에는 3천171억원으로 4년간 5.2% 상승하는데 그쳤다. 물가상승률 등을 따져보면 사실상 역성장인 셈이다.
반면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전국 주요 광역시 내 백화점 매출은 성장세가 견고하다. 예컨대, 지난해 대전시 '3대 백화점' 매출은 약 1조8천142억원으로 전년도와 비교해 1.7% 늘었다.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의 매출은 약 9천463억원으로 전년 동기(8천647억원) 대비 9.4%가 증가해 1조원 매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매출로만 보면 광주신세계의 두배에 이른다.
특히 대전시의 경우 2020년에는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이, 2021년엔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가 연이어 문을 열면서 대형쇼핑몰 소비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 대전지역 대형쇼핑몰 소비는 4천155억원으로 2019년(2천491억원) 대비 40%가량 증가했다.

◆광주신세계는 '확장' 추진…롯데백화점은?
이에 따라 지역 백화점 업계도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광주신세계는 유스퀘어 문화관과 터미널 부지 쪽으로 현재보다 3배 이상 규모를 확장한 '광주신세계 아트앤컬처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갤러리, 개방형 대형 서점, 옥상 공간, 루프탑 레스토랑, 펫파크 등을 조성하고 입점 브랜드도 기존보다 두 배가량 늘려 유치함으로써 체류형 소비 공간으로 변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광주신세계는 원정 쇼핑을 떠나던 지역 고객들의 발길을 되돌리는 것은 물론 전국에서 관광객을 끌어모으겠다는 계획이다.
롯데백화점 광주점의 경우 롯데쇼핑에서 지난해 11월 광주점을 포함해 대구점, 울산점 등 지방 10개 매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중소형 활성화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입점 브랜드 차별화 ▲지역 밀착형 특화 매장 강화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을 알려 향후 변화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구제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아직 공개하기 어렵지만 광주점이 대상으로 포함된 TF팀이 꾸려져 지방 점포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MD개편은 계속 진행 중이고 현 상황에서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 팝업행사 등 마케팅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광주지역에는 2027년 개장을 목표로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지에 '더현대 광주'가 추진 중에 있다. 2030년을 목표로 어등산관광단지 부지에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까지 들어서는 등 향후 광주지역 대형 유통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강승희기자
-
급등하던 기름값···요인 사라졌지만 제자리걸음 최근 급격히 오른 광주지역 기름값이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이란-이스라엘 분쟁 이후 급격하게 치솟은 광주지역 기름값이 최근 제자리걸음을 거듭하고 있다.하지만 국제유가가 다시 하락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번 오른 기름값은 내려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부담만 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광주지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전날보다 0.73원 오른 1천650.39원을 기록했다. 경유도 0.36원 오른 1천519.18원이다.광주 기름값은 이란-이스라엘 분쟁 당시 호르무즈 해협 봉쇄 소식이 들리던 지난달 22일부터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렸다.당시 이틀 만에 휘발유와 경유가 각각 14원, 15원 오르는 등 전반적인 경제 우려가 커지면서 기름 값도 덩달아 뛴 셈이다.하지만 이후 양측이 휴전에 들어가며 한숨을 돌린 사이 국제 유가는 다시 60달러선으로 하락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인 두바이의 경우 앞선 23일 75.71달러를 기록했지만 1일 기준 68.16달러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통상적으로 국제유가의 국내 반영이 2~3주 시차를 두고 이뤄지지만 당시 유가는 국제유가가 곧바로 반영돼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된 데다 소폭 인상되는 모양새다.한 운전자는 "기름 값하면 한번 오를 때 많이 오르고 내릴 때는 찔끔 내리는 모습만 봐왔는데 이번에도 역시나 한번 올라간 가격은 내려오지 않는다"며 "경기도 힘든데 기름값 부담이라도 좀 덜 수 있도록 인하분이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됐으면 좋겠다"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한편 이날 현재 휘발유 평균 가격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1천645원인 광산구이며 1천665원인 서구가 가장 가격이 높았다. 경유도 가장 저렴한 지역은 광산구(1천509원)이며 서구(1천536원)가 가장 비쌌다.현재 광주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589원, 최고가는 1천799원이며 경유는 최저 1천447원, 최고 1천729원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집었다 놓았다···가공식품도 치솟는 물가
- · 홈플러스, 정상운영 중이지만···"위기 잘 넘겼으면"
- · 정지영 대표 사내이사 재선임···'더현대 광주' 탄력 받나
- · 광주신세계, 로컬브랜드를 전국으로 '동반 성장 모델' 주목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