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은 동네공약 발표했다는데···유권자는 "어디서 보죠?"

입력 2025.05.24. 16:09 이삼섭 기자
민주당·국민의힘, 기초자치단체별 공약 '깜깜이' 논란
홈페이지·SNS서 찾기 힘들어…유권자 '접근성' 창구 부족
실현 계획 빠진 슬로건 나열…‘포스터용 공약’에 그칠 우려
현역의원 없는 광주는 홍보조차 없어…구색맞추기 비판도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지난 14일 서울 중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관계자들이 제출, 접수된 후보들의 선거벽보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정당에서 동네 공약을 내놨다고 하는데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광주 북구의 30대 직장인 이지훈(가명) 씨는 최근 민주당이 자치구 공약을 발표했다고 해서 민주당 홈페이지나, 대선 공식 홈페이지인 '지금은 이재명'에 들어갔지만 고개를 갸웃했다. 아무리 찾아봐도 동네 공약이 안 보였기 때문이다. 혹시나 싶어 지역구 국회의원 SNS 계정도 찾아봤지만 대선 후보 지지를 당부하는 게시글과 포스터만 가득했지 정작 지역구 공약은 보이지 않아 답답한 마음이었다.

6·1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기초자치단체별 '맞춤형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정작 유권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마저 줄줄이 쏟아지는 지역 공약은 슬로건 수준에 그치거나 실현 가능성을 가늠하기 어려운 '구호성 약속'이 대부분이다.

비록 갑작스럽게 치러진 대선이라는 점을 고려해도 공약 접근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더 책임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각 정당 대선캠프에 따르면, 최근 시·군·구별 지역 밀착형 공약을 내놨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226개 기초지자체 공약을 소개하는 '우리동네공약' 언박싱데이를 열고 취지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민주당은 다른 당에 앞선 지난 19일 '우리동네 공약'이라고 명명한 전국 226개 시군구별 공약을 발표했다. 광주 5개 자치구와 전남 22개 시·군도 각 지자체별로 5~7개씩 포함됐다. 이에 질세라 국민의힘도 다음날인 20일 전국 기초지자체별 맞춤형 공약을 공개했다.

그러나 정작 이들 정당의 공약을 찾을 수는 없다. 민주당은 우리동네 공약을 발표하면서 '지금은 이재명'에 공개했다고 했다. 그러나 수일이 지난 이날까지도 막상 홈페이지를 들어가도 찾아볼 수 없었다. 광주시와 전남도와 같이 광역자치단체별 공약은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전면에 공개한 것과 대조적이었다.

시·도당 선대위는 지난 19일 이미지(카드뉴스) 형태의 공약자료를 언론과 해당 지역위원회 등에 배포했다. 그러면서 온라인상에서 이미지가 떠돌고 있지만, 유권자가 지역별로 쉽게 찾아 비교할 수 있는 창구는 사실상 부재한 상황이다.

민주당 광주시당 측은 민주당 광주시당 SNS 채널에 올리고, 언론에 메일로 보냈다는 설명이다. 다만, 유권자가 알기 쉽게 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지역별 공약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지 않는 데는 시당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라고 답했다.

국민의힘 또한 마찬가지다. 지역구별 맞춤형 공약을 내놨다고 했지만 공식 대선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공약에 대한 접근성은 민주당보다 더 떨어지는 모습이다.

민주당이 지자체별 공약 수요를 받아 시·도당이 카드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배포한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재량에 맡겨 놓은 상태다. 그러다 보니 현역 국회의원이 없는 광주시과 같은 곳은 홍보마저 제대로 안 되면서 유권자의 공약 '알권리'가 차단된 모습이다. 이날 무등일보가 국민의힘 광주시당에 자치구별 공약을 문의하자, 별도의 세부공약을 받을 수 있었다.

소지역 단위 공약의 실현성이나 구체성 없이 슬로건(구호) 성격이 짙다는 지적도 많다.

민주당 '우리동네공약'은 기초·광역단체장 출신인 이재명 후보의 강점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일찌감치 지역에서 의견을 수렴했음에도 불구하고 5~7개의 공약 각각에 대해 한 두문장에 대한 설명만 있다. 그마저 기존 지역 현안을 되풀이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심철의 민주당 광주선대위 공보단장은 "각 지역구 공약은 이재명 대선후보가 선출된 뒤 캠프와 소통해서 만든 공약이다"며 시간적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정부에서 못한 게 많기 때문에 현실화하자는 측면에서 공약으로 만들었고, 추후 당선되면 정책 과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광주 지역구(국회의원 선거구)별로 2~3개씩 뽑았다. 하지만 세부공약을 살펴보면 '광주의 선택, 경제발전 가져온다'(서구), '필요한 곳에 더 두텁게, 따뜻한 맞춤형 복지실현'(광산구갑) 등 지역 공약이라고 할 수 없는 것들도 있었다. 당 차원에서 요구한 공약 개수를 급한대로 구색만 맞추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광주시당 측은 "현역 국회의원이 있는 지역구의 경우 공약을 구체화했지만, 그렇지 않은 (광주시와 같은) 곳은 아무래도 준비가 부족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특별취재반=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영상=손민아기자 minah868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5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