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집중하다 중앙 정치권에 연일 목소리 ‘관심’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탄핵 정국과 지역에서 벌어진 대형 참사의 혼란기에 연일 정부와 정치권에 소신의 목소리를 내는 등 호남지역 정치 지도자로서 정치적 불안과 혼란 수습에 앞장서며 민심 챙기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 지사는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한 '선한 영향력 vs 악한 영향력'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여객기 참사에 따뜻한 온정이 전국에서 쇄도했고, 선한 마음들이 유가족의 슬픔을 위로하고, 국가적 아픔을 치유하는데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헌신적으로 도와준 6천여 자원봉사자, 맹추위에도 분향소를 찾아준 30만5천여 추모객, 전국 각지에서 답지한 68억원의 성금과 25억원의 지자체 기부금 등을 '선한 영향력'으로 비유했다.
김 지사는 "반면 서울 한남동에서는 합법적 체포영장 집행에 불법 저항하는 대통령의 내란행위를, 보란 듯 옹호하는 정치인들의 모습이 나 또한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 참으로 부끄럽고 또 부끄러웠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신의 입장에 따라 법 집행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위험한 생각과 영향력이 더 커지고 사회에 큰 해악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선한 영향력은 더 키우고 못된 뿌리는 빠르게 제거해야 전체가 잘 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지사의 글은 지난 12·3 계엄 사태 이후 정치권을 향한 11번째 목소리였다.
김 지사는 12·3 계엄 사태 후 12월 한달간 9회, 올 들어 2회 등 총 11차례 글을 게시한 바 있다. 거의 3일에 1번 꼴이다.
내용은 윤석역 대통령과 여당 의원들을 비판하는 데 집중됐다.
김 지사가 올린 게시글은 "국민을 배반한 내란 수괴 윤석열은 즉각 체포영장 집행에 응하라", 친윤(윤석열)계로 분류된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을 향해 "비극적인 여객기 참사를 정쟁의 도구로 이용하는 저급한 행위를 멈추길 간곡하게 부탁드린다", "한덕수 내란대행, 윤석열 아바타", "尹 당장 탄핵·체포해야" 등이다.
이처럼 김 지사가 현 정부와 여권에 쓴소리를 날리자 "김지사님의 지적하고 강조한 내용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지사님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등의 댓글이 달리고 있다.
그동안 강기정 광주시장이나 홍준표 대구시장 등은 계엄 사태 전부터 혼란한 정국에 자신의 목소리를 가감없이 내왔지만 김 지사는 지역 현안에 집중하는 모양새였다. 그런데 돌연 탄핵 정국에 들어 여당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는 배경에 대해 궁금증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를 두고 탄핵 정국과 대형 참사의 혼란기에서 민심을 챙기는 정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부각하려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내년에 3선에 도전하는 김 지사가 지역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것 아니겠냐"고 말하기도 한다.
이유를 차치하고 김 지사의 여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저 분인가"···광주 CCTV 관제요원에 포착된 실종 노인 지난해 100억원을 투입해 현대식 시설을 갖춘 광주시CCTV통합관제센터 모습. /광주시 "실종된 치매노인을 찾아야 합니다."지난 21일 오후 7시 30분께. 해가 지고 어두컴컴해졌을 무렵 광주시 CCTV통합관제센터에 다급한 실종 신고가 들어왔다. 북구 각화동 한 마트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70대 노인이 갑자기 없어졌다는 신고였다. 경찰의 협조 요청을 받은 관제센터는 즉시 실종자 찾기에 나섰다.관제요원들의 손과 눈이 바쁘게 움직였다. 실종자의 얼굴과 인상 착의를 전달받고 집중 관제에 들어갔다. 화면 속에는 북구 일대를 비추는 수백 대의 CCTV가 빠르게 전환됐다. 전문 관제요원들은 실종자가 지나갔을 법한 경로를 추적하며 화면 하나하나에 눈을 고정했다. 실종 당시 인상착의와 행적을 토대로 노인의 동선을 추적했지만 CCTV 사각지대가 존재하다 보니 쉽사리 찾을 수가 없었다.2022년 7월 1일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시CCTV관제센터를 방문해 현장 격려를 하는 모습. /광주시시간만 하염없이 흐르던 자정이 지난 오전 2시께 한 요원의 손길이 화면에서 멈췄다. 각화동에서 도보로 2~3시간이나 걸리는 북구 용강마을의 한 골목을 비추던 모니터 속에 어두운 골목길을 느릿느릿 걷는 노인의 모습이 잡혔다.새벽 시간대 골목을 걷는 걸 수상찮게 여기던 차 실종 신고된 노인의 인상착의를 숙지했던 관제요원이 곧바로 즉시 경찰에 상황과 위치를 전달했다. 현장으로 출동한 경찰은 실종자인 걸 확인하고 가족 품으로 돌려보냈다. 실종 신고가 접수된 지 약 8시간 만의 일이었다.광주시 CCTV통합관제센터가 또다시 시민 안전 지킴이 역할을 입증한 순간이다. 특히 CCTV통합관제센터의 상황 공유와 함께 관제요원의 눈썰미가 빛났다.지난 22일 오전 2시 광주CCTV통합관제센터에서 발견한 실종자. /광주시광주CCTV통합관제센터 측은 "실종 신고는 아무래도 정확히 몇 시 몇분에 실종됐는지를 모르고, 모든 곳에 CCTV가 있는 게 아니다 보니 CCTV 추적을 통해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면서도 "다행히 북구 쪽 담당 관제요원들이 실종자 인상 착의를 숙지하고 집중 관제를 통해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광주CCTV통합관제센터는 지난해에도 7명의 실종자를 찾아 가족 품에 돌려보냈다. 또 지난 19일에는 서구의 한 편의점에서 강도행각을 벌인 용의자를 검거하는 데도 결정적 역할을 했다.광주시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기준 광주 전역에 범죄 취약지역과 어린이보호구역 등을 중심으로 3천955곳에 1만1천652대의 CCTV를 설치했다. 전문관제요원은 82명에 달한다.지난 2013년 문을 연 광주CCTV통합관제센터는 지난해 100억원을 투입해 첨단기술을 도입하고 노후화한 시스템을 교체했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양궁 전설 안산·최미선도 함께 "다문화 아이들의 꿈 응원"
- · 광주 떠난 카카오바이크…차 없는 젊은층 이동권 '위축'
- · '고향사랑기부제' 대박 지자체, '이것'부터 달랐다
- · 고향사랑 마음, 광주와 전남이 '주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