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농인의 집’ 1년 살이 첫 실습
올해 6개팀 영농교육·현장답사
봄의 마지막 절기인 곡우 다음날인 21일 곱게 체질한 무안 현경면 봉월로 황토밭 일손이 분주하다.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자란 김 씨(63)는 이날 농사의 첫삽을 떴다. 무안군에서 마련한 체류형 '귀농인의 집'에 입소한 이후 첫 번째 농업 실습이다.
오전에는 옥수수를 심고 오후에는 당근을 심었다. 쟁기로 땅을 갈고 두 번씩 로터리로 곱게 정리한 황토에 작물을 심는 행위가 성스럽게 느껴졌다. 당근심기에 특이점이 있다면 비닐에 당근 씨앗이 붙어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비닐 멀칭을 한 다음에 구멍을 가볍게 흙으로 메꿔주면 된다.

김 씨는 무안군에서 1년 살이를 한 다음 정착을 결심할 생각이다.
이날 농업현장의 지도교수는 15만평의 농사를 짓고 있는 강행원 씨다. 그는 농업대학을 졸업한 이후 고구마를 비롯해 엽채류 등 평생을 농업에 전념해 왔다. 벌써 10여 년째 농업인의 멘토동을 이어와 40여명의 귀농을 도왔다. 그는 "무안군은 밭이 많아 이모작, 삼모작도 가능하다"며 "이번에 심은 당근은 재배에서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실습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무안군 '귀농인의 집'은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체류형으로 1년 살아보기를 진행한다. 올해도 6개팀이 귀농인의 집에 선정되어 영농교육과 영농현장을 답사하며 실습을 병행한다. 체류형의 장점은 농촌에서 4계절을 보내며 몸소 농업경영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무안군 '귀농인의 집'에 대한 사항은 무안군청 홈페이지 또는 귀농·귀촌 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김을현 시민기자
-
[동네방네] 울퉁불퉁하고 길 막고··· 광주 동구 보행로 '아찔' 손상된 보도블록. 지산동·산수동·동명동 등 통행로 곳곳보도블록 꺼지고 각종 시설물 튀어나와시각장애인 길잡이 역할 '점자 보도블록'횡단보도 양단에 설치 안된 곳도 부지기수지산배수지 공사장 부근은 안전펜스가 길막지자체, 신속한 조치로 시민 안전 지켜야광주시 동구 일원을 점검해 본 결과 시민이 걸어서 통행하는 보행도로에 문제가 많다. 평탄하여야 할 보행도로에 각종 시설물이 튀어나와 있거나 내려앉은 곳이 있다.조선대 장미의 거리와 연결되는 보도에는 수리시설용 둥근 뚜껑이 튀어나와 있고, 필문대로 289번길 도로는 하수구 시설로 인해 움푹 패여 있으며, 지호로 44번지 일대 등 여러 곳에 있는 보도블록이 튀어나와 있거나, 아래로 푹 꺼져 있다.불쑥 튀어나온 수리시설.밤실로 62번지 앞 보행도로는 가로수 경계석이 튀어나온 상태라 발이 걸려 넘어지기 쉽고, 밤실로 50번지 앞 통행 보도와 산수2동행정복지센터 버스정류장 주변 보도블록도 들쑥날쑥하다. 이렇게 울퉁불퉁한 보도를 걷는 시민은 튀어나온 도로 시설물에 걸려 넘어져 다칠 수 있다. 장애인과 노약자는 물론 건강한 일반 시민도 길을 걷는데 어려움을 준다.시각장애인의 '소중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점자블록은 발이나 지팡이로 도로에서 자신이 있는 곳과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특별하게 만든 보행 보조 시설로 이 역시 문제가 있었다. 횡단보도 양단에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어야하나 미설치된 곳이 많았다.튀어올라온 보도블록.도시철도2호선과 필문대로 263번길이 만나는 횡단보도 한쪽은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으나 반대편은 설치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제봉로 110번길 13번지 앞 사거리 횡단보도도 한쪽은 점자블록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나머지 한쪽 횡단보도는 점자블록이 없으며, 필문대로 295번길과 교차하는 구간도 마찬가지로 반대편은 설치 흔적이 없다. 육교로 오르는 계단 앞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은 없었다.국민권익위는 지하도, 육교 입구, 차량 진출입 구간 등 시각장애인에게 위험한 장소에 점자블록을 설치하는 등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을 개선하도록 국토교통부에 지난 2023년 11월 9일 권고한 바 있다.지산배수지 건설공사장 앞 꽉 막힌 보행도로.지난 2019년10월 21일 공사를 시작한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사현장도 시민을 위한 배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산사거리 근처, 지하철공사로 임시 보행자 통로를 만들어 놓은 곳에는 '안전을 제일로 생각하는 현장'이란 표지만 있을 뿐 장애인을 위한 어떤 안내표지도 없다.또한 광주 여러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상이 동구에서도 발생하고 있는데 지호로 6번지, 동리단길 카페거리 등은 상습적으로 자동차가 인도를 막고 있다. 주차 차량을 피해 차가 다니는 도로로 내몰린 시민은 차와 섞여 길을 걸으며 위험에 노출된다.인도를 가로막은 불법주차 차량.가장 큰 문제는 보리밥거리로 가는 동구 지산동 지호로, 지산배수지 건설공사장 앞 보행도로다. 총사업비 304억 4천500만원을 투입해 2028년 완공할 예정인 지산배수지 건설공사장 근처는 그렇지 않아도 가로수로 좁아진 보행도로를 '안전제일'이란 글이 인쇄된 안전 펜스가 시민이 다니는 보도를 통째로 막고 있다. 시민이 자동차가 다니는 길로 내려와 걸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정규석 시민기자광주시 동구는 지산동, 산수동, 동명동 등 몇 곳만 돌아보아도 많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조치해야 할 책임이 있는 행정기관이 손을 놓은 체 불안전한 보행도로를 방치하고 있는 사이 시민의 안전은 위협받고 있다. 관련 지자체는 말로만 시민을 위하지 말고 행동으로 나서야한다.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정규석 시민기자
- · [동네방네] 광주 학운IC 하이패스 개통 두 달··· 주민 불편 여전
- · [동네방네] 5·18 대축제, 금남로에 울린 함성
- · [동네방네] 광양 주민들의 행복한 순간 '찰칵'
- · [동네방네] '슬로우 조깅'으로 건강·다이어트 효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