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 계획서 안 알려 무안군서 과태료 처분
“정보 부족·보수 지연 등 입주민 피해 심각”
'5만건 하자'가 발생했던 무안군 오룡 A아파트 시공사가 입주 당시 확인된 하자를 어떻게 보수할 것인지를 입주 예정자들에게 알리지 않아 과태료를 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시공사가 하자보수 계획을 입주 전은 물론 입주 후에도 알리지 않은데다 생활에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는 하자가 입주 1년이 다 되는 지금까지고 고쳐지지 않으면서 입주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다.
22일 무안군에 따르면 오룡 A아파트 시공사가 입주 전 사전점검 과정에서 확인된 하자에 대해 보수 계획서를 입주예정자에게 통보하지 않은 사실을 적발해 400만원의 과태료를 처분했다고 밝혔다.
완공 후 '5만4천여건의 하자'으로 악명 높았던 A아파트는 하자 보수가 마무리 되지 않은 채 지난해 7월31일 입주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입주 후에도 732세대 중 570세대가 하자보수계획서를 받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자보수계획서가 통보되지 않으면서 입주민들은 심각한 실질적·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보수 계획이 입주민들에게 미리 알려지지 않다보니 보수 일정 조율이 어려운데다, 일부 항목은 누락되거나 뒤늦게 처리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입주민 B씨는 "우리집을 포함해 인근 세대 상당수가 화장대 긁힘, 안방 팬트리 벽 휨, 도배 들뜸 현상이 발생했다. 도배 벌어짐까지 이어지는 집들도 있다"며 "우리집은 화장대 상판을 교체했는데 약품처리 흔적이 남아 불빛이 닿으면 검게 얼룩이 보여 더 심각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타일이 약해 깨진 하자가 빈번하고, 보일러를 틀면 타일이 깨져 불안해하는 세대가 많다"고 덧붙였다.


입주민 C씨는 세탁실 벽에 발생한 균열이 보수되지 않자 무안군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벽에 금 간 세대만 50세대를 넘는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고, 동일한 하자가 반복되는 집도 있어 불안하다"며 "시공사에서 지금까지 얼마나 접수됐는지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 입주민들은 작은 하자 하나에도 매일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입주민은 천장형 에어컨 틈이 벌어진 상태가 해결되지 못한 채 1년여를 그대로 생활하고 있다. 이 입주민은 "에어컨이 언제 떨어질지 몰라 아이들이 있을 때는 켜기 불안하다"며 "거실 아트월 타일이 벌어지고, 깨짐 현상도 파악됐는데, 보수되지 않아 아이들이 다칠까 봐 매일 신경이 곤두선다"고 밝혔다.


무안군 홈페이지를 통해 입주민들의 민원이 접수되자 무안군 건축과가 현장 조사를 진행해 하자보수계획서 통보 누락 사실을 파악한 것이다.
현장 조사를 총괄한 무안군 건축과 팀장은 "시공사는 입주 전 하자를 보수하고, 입주 전 보수가 어려우면 그 이유와 계획을 통보하게 돼 있다"며 "계획서를 입주민들에게 전달하지 않은 것은 건설사의 단순한 행정 누락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자 보수 지연, 입주민의 정보 부족으로 인한 권리 침해, 반복 민원 유발 등 실질적인 피해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 팀장은"공동주택의 하자 문제는 군민의 주거 안정과 직결된 사안으로, 무안군은 법 위반에 대해 앞으로도 신속하고 단호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시공사는 "하자 보수는 입주민과 전화로 보수 일정을 정해 처리하고 있다. 전자문서로 하자 일정을 알리기도 했는데, 이럴 때도 법적 요건은 충족한 것으로 본다"며 "5월부터는 입주민이 하자 접수·처리 내역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을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무안=박민선기자 wlaud222@mdilbo.com
-
10만 발길 '무안연꽃축제'··· 물놀이·안전 '최고' '무안연꽃축제'에 10만여명의 관람객들이 찾아 명실상부 여름 대표 축제로 면모를 과시했다.29일 무안군에 따르면 지난 26~29일 일로읍 회산백련지 일원에서 열린 '제28회 무안연꽃축제'에 9만6천여명이 방문, 군민과 관광객의 뜨거운 호응 속에 성황리에 열렸다.특히 '워터락 페스티벌'은 DJ와 댄서들이 함께하는 짜릿한 워터밤 파티로 진행돼 축제의 하이라이트로 떠올랐고, 수많은 방문객들의 환호를 받으며 여름을 대표하는 무안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무안군과 군민들은 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이번 축제가 "군민과 관광객이 하나가 된 화합의 시간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방문객들은 "무안연꽃축제는 즐길 거리, 볼거리, 먹거리가 풍성해 정말 만족스러웠다"고 평가하며 축제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다. 광주에서 축제장을 찾은 초등학생 A 군은 "축제장에 먹을 것도 많고 볼거리도 많아서 너무 좋았다"며 "특히 물놀이가 정말 최고였다"고 웃으며 즐거움을 표현했다.이번 축제는 안전 관리 면에서도 돋보였다.무안경찰서와 무안소방서는 연일 이어진 무더위 속에서도 군민과 관광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켰고, 특히 정성일 무안경찰서장은 "무더위로 인해 단 한 분의 어르신이라도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히며 경찰서 직원들과 함께 축제 현장을 끝까지 돌며 철저히 안전을 챙겼다. 군민들은 "경찰과 소방이 끝까지 현장을 지키는 모습을 보며 정말 든든했다"고 평가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축제장에서 만난 음식점 사장님들은 "이렇게 많은 관광객이 올 줄 몰랐다"며 "오랜만에 장사가 잘 돼 정말 살맛이 난다. 축제를 성공적으로 준비해 준 무안군 행정에도 박수를 보낸다"고 밝혔다. 주민 B씨는 "이번 축제가 이렇게 잘 치러질 수 있었던 건 축제 현장에서 묵묵히 봉사한 이장단, 번영회, 부녀회 같은 기관·사회단체들이 솔선수범해 준 덕분인 것 같다"며 "이분들이 없었다면 이렇게 성공적인 축제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무안연꽃축제는 군민과 관광객, 그리고 행정·안전기관이 함께 만든 '상생과 변화의 축제'로 자리 잡았다. 군민들은 "이렇게 좋은 분위기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김산 군수는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만들어낸 이번 축제의 성공이 무안의 가장 큰 자산"이라며 "앞으로도 군민이 즐겁고 관광객이 다시 찾고 싶은 신뢰받는 축제를 계속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무안=박민선기자 wlaud222@mdilbo.com
- · "대통령실 TF 적극 참여··· 무안군민 끝까지 대변"
- · '푸른동행 클린 무안'··· 일로읍 힘찬 '첫발'
- · '무안군민의 날' 군민 5천명 화합 한마당
- · 판결·행정처분 무시··· 무안 지렁이농장 '배짱 영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