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친화 도시라면서···광주 자치구 노인·가족배려 주차구역 태부족

입력 2025.06.22. 19:39 차솔빈 기자
총 23면으로 전체 주차면수 0.093% 불과해
동구, 북구는 노인우선·가족배려 주차장 無
조례 자체 없거나, 과거 지적에도 신설 'NO'
AI로 생성한 이미지

광주 자치구들이 고령 친화 도시를 표방하고 있지만, 그에 맞춘 노인 우선주차구역과 가족배려주차장 수는 태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관련 조례가 제정된 지 적게는 2년에서 8년까지 흘렀지만 조례 제정 후에도 전혀 노인 우선주차구역 등이 만들어지지 않았음은 물론, 계획조차 전무한 곳도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

13일 광주시와 5개 자치구 등에 따르면 광주 관내 주차장 총 2만4천529면 중 노인 우선주차구역은 총 23면으로 전체의 0.093%에 불과하다.

2025년 1월 기준 2025년 1월 기준 광주의 65세 이상 인구가 24만8천124명으로 전체의 17.6%를 차지하는 것을 감안하면, 노인들을 위한 공간이 비율상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각 구별 통계를 살피면, 광산구가 노인우선주차구역 12면, 서구는 노인우선주차구역 11면을 관내 행정복지센터와 공공기관 등에 구성하고 있었으며, 동구와 남구, 북구는 관내 노인우선주차구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구의 경우, 지난 2017년 어르신 우선주차구역에 대한 조례를 제정했고, 2024년까지도 노인 우선주차구역 설치 실적이 전무해 북구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받은 바가 있지만, 2025년인 현재까지 설치계획 등이 없고, 오히려 어르신 우선주차구역에 대한 조례를 수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동구는 광주 자치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1.6%로, 남구(17.6%), 북구(15.1%), 서구(14.3%), 광산구(9.5%) 등 타 자치구와 비교했을 때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음에도 노인 우선주차구역이 없는 것은 물론, 관련된 조례 자체도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과 노인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가족배려주차장'도 턱없이 부족한 것은 마찬가지다.

조사 결과 광주 관내 가족배려주차장은 현재까지 남구가 주월 공영주차장에 1면을 지정, 설치 중인 것을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배려 주차장과 관련된 조례도 남구를 제외하고 제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시민들은 고령 친화도시를 표방하지만 실상은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다.

윤모(60)씨는 "효도 정책을 펼친다, 노인 친화 도시로 거듭난다 말하지만, 이런 실생활의 작은 정책들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각 구나 시에서 법을 만들었으면 빠르게 실행해야지, 실행도 안 할 거면 왜 만든 건지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각 자치구는 실효성과 예산 배치 등의 문제로 노인 우선주차장, 가족배려주차장 등 설치가 늦어지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과거 제정된 노인 우선 주차장 조례안, 조항 등이 현재 실정과 맞지 않거나 예산 배정 순서 등의 문제로 후순위로 밀려 노인 우선 주차장 신설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조례 폐지가 아닌 개정이기 때문에, 개선책을 마련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