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등 협력 고령 영농인·현장 근로자 중점 관리
전남도는 폭염에 따른 추가 인명·재산 피해를 막기 위해 폭염저감시설 철치와 취약계층 지원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2일 현재 올해 폭염 누적 일수는 40일이며, 지역 온열질환자는 281명으로 집계됐다.
전남지역 온열질환자의 발생 장소, 연령, 성별 등을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고령자,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농업인, 현장 근로자가 가장 많았고, 장소별로는 실외 작업장, 논밭 등 야외에서 주로 발생했다.
이에 전남도는 폭염에 취약한 고령 영농인, 현장 근로자 중점 관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시·군, 유관기관, 민간단체 등과 협력해 영농인과 근로자의 낮시간대 야외 작업 활동을 자제시키고, 건설, 물류, 조선 등 폭염 취약업종 사업장을 중심으로 폭염 예방수칙, 근무시간 조정 등 권고조치 이행여부도 집중 점검하고 있다.
가축과 수산 피해는 각각 120개 농가 14만9천마리, 3개 어가 27만9천마리로 집계됐다. 특히 고온에 취약한 닭, 오리 등 가금류와 넙치 등 피해가 컸다.
전남도의 폭염 피해 최소화 사업비는 총 2천167억원에 이른다.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폭염저감시설 설치, 취약계층 지원에 74억원, 가축과 수산 피해 예방을 위해 고온스트레스 완화제, 축사 지붕 열 차단재, 수산동물 예방백신 공급, 이상수온 대응을 위한 폐사체 처리기 등에 188억원을 지원하는 등 농축수산 분야 폭염피해 예방 예산을 신속하게 지원했다.
축사 냉방시설(쿨링패드)을 설치한 농가에는 보험료를 감면해 주도록 농업재해 보험제도도 개선했다.
폭염 등 각종 재난에 대비해 농작물, 가축, 양식수산물 재해보험으로 1천905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정국 전남도 자연재난과장은 "폭염에 따른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최선을 다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류성훈기자 rsh@mdilbo.com
- 지원 사각지대 속, '폐지 수집 노인' 도로로 내몰린다 19일 오전 광주 북구 두암동의 한 도로. 고물상에 폐지를 팔고 나온 노인이 도로 한쪽 차선에서 리어카를 밀고 있다. "박스 줍는 것이 무슨 자랑이라고 이름까지 밝히겠어. 다들 입에 풀칠이라도 할라고 억지로 하는데…"폐지 줍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안전 장비와 노인 일자리 제공 등 다양한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정작 고물상에도 이름 남기기를 꺼리는 노인들이 많아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다.실제 광주시와 각 지자체에서 전수조사를 토대로 지역내 폐지 줍는 노인들에게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야광조끼 등 안전 장비를 제공하고 있지만 혜택을 받지 못한 노인들이 위험천만한 도로 위를 맨몸으로 다니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지난 19일 오전 광주 북구 두암동 한 고물상 앞으로 폐지를 잔뜩 실은 리어카가 쉴 새 없이 오갔다.추석 연휴 동안 모은 폐지를 팔기 위해 노인들이 손수 리어카를 끌고 모였다.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도로의 한쪽 차선에 걸쳐 위험하게 오가고 있다는 것이다.대부분의 노인들이 더운 낮 시간대를 피해 새벽과 저녁에 활동하는 만큼 출퇴근길 교통체증 유발은 물론 야간 사고에 위험에 노출돼 있다.특히 최근 지자체에서 안전 확보를 위해 반사필름이 부착된 안전조끼 등을 배부하고 있지만 이는 전수조사를 통해 확보된 명단에 한해 지원되기 때문에 홍보 미흡이나 이름을 밝히기 꺼려 응답하지 않은 노인들은 이 같은 혜택을 볼 수 없다.폐지 줍는 이모(80·여)씨는 "우리라고 도로로 가고 싶어서 위험하게 가겠나. 자전거 도로라도 잘된 곳이면 상관없지만 인도가 좁은 곳은 지나갈 수 없어서 부득이하게 차도로 다닌다"고 말했다.현재 광주시와 5개 자치구가 파악한 폐지 수집 노인은 총 607명이다.구별로는 동구 130명, 서구 65명, 남구 112명, 북구 200명, 광산구 100명이다.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야광 조끼 등을 제공하거나 폐지수집 대신 재활용품 선별 작업 시 경비를 지원하는 자원재생활동단을 모집했지만 전체 폐지 수집 노인의 13%인 79명만이 참여했으며,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는 노인들도 있어 아무런 지원없이 리어카를 끌고 도로에 나서는 이들도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앞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실태조사에서도 미신고 고물상과 납품 노인 추정치 등을 반영해 지난해 광주의 폐지 수집 노인을 1천761명으로 추정했다.남모(83)씨는 "기존에 받는 지원금을 못 받거나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서 전수조사에 응하지 않았다"며 "생계비에 10만원, 20만원이라도 보태려고 하는건데 대부분 몸이 허락한다면 시간될 때마다 폐지 줍겠다고 할 것이다"고 말했다.이 때문에 폐지 수집 노인들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지원 정책 안내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규모 파악이 선행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한국노인인력개발원 관계자는 "어르신들이 대상이다 보니 각 지자체에서도 일자리 사업 참여자 모집이나 지원 내용 안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노인 일자리 사업과 차별화 되는 폐지 수집 노인 연계 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명절 끝나자 광주 곳곳 쓰레기 '몸살'
- · 법무 차관 김석우·대검 차장 이진동···"검찰 조직 안정"
- · 전남대병원·화순전남대병원, 美 뉴스위크 '세계최고 전문병원' 선정
- · 법원 "친권 주장에도 미성년 자녀 의사 우선···양육환경 유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