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 공간 대한 개념 사유
모든 소리 중첩되는 것 특징
"보통 전시는 다른 작품의 소리와 중첩되지 않도록 공간을 설정하거나 제한하는데 이번 광주비엔날레는 모든 소리가 중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관객들이 보는 것도 해야하지만 들어야하는 전시로 '걸어 들어갈 수 있는 오페라'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6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니콜라 부리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은 이번 전시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이번 광주비엔날레는 '판소리, 모두의 울림'을 주제로 '부딪침 소리' '겹침 소리' '처음 소리' 등 총 3개의 소주제와 외부 전시 '양림-소리의 숲'으로 전시를 구성했다.
'부딪침 소리'는 지구가 포화되며 모든 존재가 가까워 즉각적인 전염과 반향이 일어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겹침 소리'는 다양한 존재가 어우러져 사는 지구라는 공간을, '처음 소리'는 시공간을 넘어서거나 보이지 않는 다른 세계와의 소통과 그에 따라 영향을 받는 공간을 이야기한다.
니콜라 부리오는 공간에 주목하게 된 계기로 팬데믹을 꼽았다. 그는 "팬데믹 때는 공간이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해야했다. 사람 간의 사이를, 공공의 공간을 말이다"며 "공간은 여러분의 집 크기뿐만 아니라 도시가 조성되는 방식, 사교적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가 점유할 수 있는 허용성을 얼마나 되는지, 여성이나 동성애자, 이주민에게 허용되는 사회적 장소란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간을 정의하는 것이 예술에 있어 왜 중요한가 하면 기후 변화를 꼽겠다. 기후변화는 우리가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을 굉장히 크게 바꾸지만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기에 예술가들이 많은 방식으로 이를 나타낼 수 있다"며 "참여 작가 72명은 이것을 똑바로 인식하고 있고 각 작가들은 구체적으로 공간을 탐색하고 탐구하는 저마다 다른 양식을 작품에 담아냈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이번 전시에 소리가 존재하며 각각의 전시관은 각각의 시퀀스가 되어 하나의 영화를 완성한다고 강조했다.
니콜라 부리오는 "이번 전시에는 일반적으로 전시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 많을 것이다. 특히 소리가 전시에 존재한다는 것이다"며 "일반적으로는 큐레이터들이 작품의 소리가 중첩되지 않도록하지만 우리는 모든 사운드가 중첩된다. 이미지와 소리는 모두 진동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관객들의 신체가 모든 진동을 받아들이는 수신기라고 생각하길 바라며 첫 층부터 전시에 들어가는 순간 특별한 소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고 소개했다.
30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광주비엔날레에 대해서 박양우 (재)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는 비엔날레 본질에 충실한 비엔날레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번 주제는 마당 같은 공공의 장소, 열린 장소에서 발생하는 세상의 모든 소리와 주인공이 아닌 타자의 소리까지 담고 있다는 점에서 광주비엔날레의 지향점과 일치한다"며 "비엔날레의 존재 이유는 새롭고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해 이번 참여 작가의 절반 가량이 신작을 제작, 주제에 걸맞게 소리, 공간에 맞는 다양한 관점의 작품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창설 30주년을 맞이하는데 그동안 광주비엔날레는 비엔날레 본질에 충실하기 위해 동시대 담론을 이끌어 왔다"며 "재단은 앞으로도 아시아 최대, 최고의 비엔날레는 물론 세계 비엔날레사와 미술사를 선도하며 한 획을 긋은 비엔날레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15회 광주비엔날레는 오는 12월1일까지 이어진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자연소재 이용한 건축 논한다 (재)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오는 23일 오전 11시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거시기홀에서 세계적인 건축가 이토 도요가 선보이는 '옻칠 집'에 대한 특별 강연 '자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을 개최한다.이번 강연은 22일 공개될 제5차 광주폴리 '순환폴리 Re:Folly' 프로젝트 중 하나인 '옻칠 집'을 완성하기까지 이토 도요의 건축 철학과 함께 자연 소재 건축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 있는 이야기를 전하고자 마련됐다.제5차 광주폴리 '옻칠 집'은 세계 최초로 옻을 구조 재료로 사용한 자연 소재 건축물이다. 동시에 계획부터 철거에 이르기까지 지속 가능성과 환경 보존을 실천한 혁신적인 작품이다. 이번 강연은 '옻칠 집'의 설계와 제작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토대로 자연 소재를 활용한 건축물이 어떻게 미래 유산으로 남을 수 있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이토 도요는 평소 '애정의 건축'이라는 개념을 강조해 왔다. 자연 소재의 건축물은 시간이 지나며 약해질 수 있지만, 공동체가 애정을 가지고 관리하고 보존한다면 미래의 소중한 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근대 이전 물건을 고쳐 사용하던 전통처럼, 건축도 자연과 인간이 상호 공존하며 지속 가능한 삶을 이어갈 수 있는 방식임을 제시하는 이번 강연은 건축 전문가뿐만 아니라, 자연과 환경, 지속 가능한 건축에 관심 있는 대중들에게도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토 도요의 강연 참여 신청은 (재)광주비엔날레 웹사이트 및 광주폴리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가능하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노벨문학상 한강, 광주비엔날레 작가로도 두각
- · 실험적 담론에 친 시민 프로그램까지 '호응'
- · 광주비엔날레로 알아보는 미술의 흐름은?
- · [무등일보 창간특집] 미술 담론으로 펼쳐낸 격랑과 환희의 30년 파노라마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