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6월22일 5·18문화센터
'소년이 온다' 읽는 오월어머니
목소리, 80년 5월로 관객 이끌어
25일엔 배우 강애심·권지숙 참여
오프닝 낭독 퍼포먼스도 '눈길'

"소리 내지 못한 이들의 목소리를 담고 싶었어요.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렵고 힘들 수 있지만 마치 남의 이야기를 읽듯 소설을 읽고 자신의 시간을 함께 이야기하는 것은 더 수월할 수 있죠. 그래서 오월어머니들에게 '소년이 온다' 낭독을 부탁드렸습니다."
25일부터 6월 22일까지 5·18기념문화센터 지하 1층 전시관에서 열리는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특별전 '소리 없는 목소리'에 대해 기획자 정현주 포도나무아트스페이스 대표는 이같이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23년 같은 곳에서 선보인 전시로 정 대표와 독일 Art5예술협회 유재현 대표의 기획으로 김홍빈, 심혜정, 정기현 작가가 참여해 오월어머니집 어머니들과 함께 만들었다. 지난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광주를 찾아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내외국민들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5·18기념문화센터가 다시 한 번 이 전시를 추진했다.
전시는 총 세 갈래로 구성됐다. 입구는 그 시작을 알리는 '프롤로그'이다. 기념문화센터 전시실 입구 옆 벽에 기존에 걸려있던 1980년 민주대성회 대형 액자 위에 블루프린트 천을 덧씌운 장소특정적 설치작업 '소년이 온다'이다. 민주대성회 사진 위로 영정사진조차 없이 목숨을 잃은 많은 이들의 존재를 빈 타원으로 나타냈다.

이 전시가 당초 기획된 이유인 '그동안 소리를 내지 못했던 목소리를 기록한다'는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전시장으로 들어서면 만날 수 있는 작은 서가는 이 전시의 첫 번째 갈래다.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작품과 전시인만큼 '소년이 온다'의 다양한 번역본과 한강 저작의 다양한 번역본을 진열했다. '소년이 온다' 경우 몽골어, 스페인어 등 12가지 언어 번역본을 갖춰 외국인 방문객도 '소년이 온다'를 잠시나마 만날 수 있게 된다.

전시의 두 번째 갈래는 두 편의 영상작업으로 채워진다. 첫 번째 영상은 '어린 새, 소년 2023'으로 '소년이 온다' 속 동호의 시야를 따라간다. 흐릿한 광주의 모습에서 점점 또렷해지는 영상은 직접적으로 보지 않으면 아픈지 모르는 80년 5월을 함축적으로 이야기한다. 두 번째 영상은 '꽃 핀 쪽으로'이다. 80년 5월 이후를 살아가고 있는 6명의 오월어머니들이 '소년이 온다' 제 6장을 낭독한다. 담담하게 읽어내려가지만 결국 자신의 이야기와 맥락을 같이하는 어머니들을 보며 역사를 뛰어넘어 한 인간의 인생을 들여다보게 된다.
전시의 마지막 갈래는 낭독부스이다. 관객들이 '소년이 온다'의 각 단락을 이어 낭독하고 녹음할 수 있는 부스이다. 번역서도 함께 준비돼 외국인 관객도 참여할 수 있다. 눈으로 읽는 것 이상의 교감이 이뤄지는 현장이 된다.
전시가 개최되는 25일 오후 5시30분에는 낭독퍼포먼스가 오프닝행사로 진행된다. 영상 속 목소리로 힘을 보탠 강애심, 권지숙 배우가 참여해 '소년이 온다' 제 6장 '꽃 핀 쪽으로'를 읽는다. 텍스트를 읽는 배우의 목소리는 80년 5월에 숨을 불어 넣고 관객은 그 한가운데 있는 경험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달 4일 오후 4시에는 전시 연계워크숍으로 '오월이야기-사물의 기억 워크숍'이 진행된다. 영상 속에서 '소년이 온다'를 낭독한 오월어머니 윤삼례, 최은자, 이정덕, 장명희, 김형미가 참여해 시민 참여자들과 5·18기념공원을 산책하며 '소년이 온다' 6장을 함께 읽고 기획자의 해설과 함께 전시를 관람한다. 이어 오월어머니들과 함께 참여자들은 이들이 오랫동안 간직해온 물건을 통해 오월을 공유한다.
유재현 독일 Art5예술협회 대표는 "2023년 전시와 달라진 점은 아무래도 정치, 사회적 환경이다. 지난해 우리는 계엄을 겪게 되며 정치적으로 복잡한 상황과 극한의 대립을 겪게 됐다"며 "이에 따라 이번 전시는 시민과 함께 소설을 함께 읽기도 하지만 계엄 지지에 같이 맞선 시민들과 함께 하고 또 이들에게 감사를 전하는 의미가 담기게 됐다.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어두운 현대 자화상 속 인간성 회복·화해 강조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중간적 존재인 '트랜스휴먼'의 모습을 표현해온 기옥란 작가가 오는 20일까지 송정작은미술관의 초대로 전시회를 갖고 있다.작가가 천착하는 '트랜스휴먼'은 노화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 영생을 추구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바람과 맥이 닿아 있다. "오랫동안 철학 서적에 관심을 갖고 읽다 보니 트랜스휴먼의 의미가 신선하게 다가왔고 지난 2010년께부터 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시작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그는 트랜스휴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DNA, Digital, Design, Divinity(신성, 영성) 등의 4D와 Feeling(느낌, 감성), Female(여성성), Fiction(상상력)을 포함한 3F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세계를 구축해왔다.작가가 작품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인간성 회복'이다. 그는 트랜스휴먼을 바탕으로 인간 본질을 재탐구하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기후위기와 전쟁, 인종문제 등을 초월해 모두가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인간과 공존하는 모든 것들과의 '화해' 역시 인간성 회복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다.작가는 인간과 인간 간의 화해는 물론 도시와 자연의 화해, 정신과 물질의 화해, 실제 세계와 가상세계의 만남 등을 통해 인간과 자연, 기술이 어떻게 서로 융합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를 시각 언어로 형상화했다.'트랜스휴먼-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그는 직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리드미컬한 구성 속에서 비대칭적인 표현과 기호 등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삶과 예술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현대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은 중요한 작품 소재가 된다. 인종과 인종의 만남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느 곳에 가든 이방인(노마드)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과 삶과 죽음을 소재로 한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 등이 눈길을 끄는 작품들이다. 또 인간의 에너지나 감성, 욕망 등이 어떻게 기술과 결합해 조화를 이루고 화해할 수 있는가를 고민한 작품도 만날 수 있다.그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초월해서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인간에게 무엇인가 위안과 위로를 주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기옥란 작가는 그동안 사진전을 포함해 70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현대미술에뽀끄회, 이형회, 광주전남여성작가회, 그룹터, 침묵과 은유회 등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개성있는 소재와 기법···3인3색 매력에 '풍덩'
- · '기술과 예술의 만남'···코드로 빚은 캔버스 세계
- · "동아시아 회화 세계에 알리자"···작품 설치 '분주'
-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D-5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