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매체 속 색감·질감 비슷
자연 통해 전하는 메시지 주목
"평온의 순간 경험할 수 있기를"

푸른 빛의 상서로움이 우리에게 위로와 치유를 전하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광주신세계갤러리에서 지난 5일부터 열리고 있는 강운, 박선희 2인전 '푸른 숨'이 그것.

이번 전시는 푸른 색감을 주로 쓰는 두 사람의 공통점에서 출발한다. 강운과 박선희는 각각 회화, 도자 작업을 주로 하는 작가로 '푸른 숨' 전시 이전에 만난 적도 없고 작업 매체는 서로 다르지만, 이들의 작품을 보면 색감과 질감부터 자연을 통해 우리의 삶과 역사를 담아내는 표현 방식이 비슷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이들의 작품에서 만날 수 있는 푸른빛은 푸른뱀의 해에 만나는 특별한 치유의 색으로 관람객에 다가선다.

강운 작가는 하늘과 바다를 이미지화해 서정적 푸른 화면을 선사한다. 유화 물감을 덧바르고 덧바르는 구도자적 작업을 통해 완성된 두꺼운 질감의 작품은 그가 담아내고 싶었던 광주의 이야기가 깊숙하게 새겨져있기도 하다. 작가는 이같은 반복되는 작업을 통해 자신 내면의 아픔, 불안함, 우울함을 치유하고자 한다. 개인적 삶에서 시작한 작업은 곧 지역의 역사로 이어지며 치유의 에너지를 확장한다. 그의 신작 '구름-증언'이 그렇다. 광주의 아픔을 증언하고 이를 치유하고자 한다.

박선희 작가는 제주의 바람과 바다, 하늘, 숲, 돌 등의 질감을 형상화한 도예 작품을 선보인다. 이 작품은 제주가 갖고 있는 자연의 흐름과 시간의 흔적이 응축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작품은 관람객을 어느샌가 제주의 바다에, 제주의 푸른 들녘으로 소환한다. 그 과정에서 관람객은 거대한 자연 안을 온 몸으로 받아들이며 치유의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

백지홍 광주신세계갤러리 큐레이터는 "두 작가의 작품 속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번 전시를 기획, 초대하게 됐다"며 "두 작가는 서로 다른 매체의 작품을 작업하지만 비슷한 색, 질감을 사용하고 우리 삶과 역사를 바라본다는 점은 비슷해 관람하는 즐거움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평온의 순간을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24일까지 이어진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별'과 '빛'이 된 부녀의 이야기 춤과 춤꾼의 에피소드극 '별.빛 맞춤' 공연 웹 포스터 5·18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최후의 시민군이었던 '들불열사' 고(故) 김영철 열사의 딸이 아버지와의 기억을 담은 뜻깊은 공연을 선보인다.김 열사는 1948년 순천에서 태어나 1978년 7월 들불야학 설립 기반을 닦았고, 야학 교장 겸 강학으로 활동했다. 그는 5·18 당시 최후의 시민군으로 5월27일 옛 전남도청을 사수하다 총상을 입고 쓰러졌다. 체포 후 계엄군사법정에서 재판을 받고 극심한 옥고를 치렀으며, 1981년 석방됐지만 병이 악화되면서 18년간 병마에 시달리다 1998년 8월16일 사망했다.김 열사의 딸인 김연우씨는 내달 10일 오후 7시 광주 빛고을시민문화관 공연장에서 '춤과 춤꾼의 에피소드극-별.빛 맞춤'을 무대에 올린다. 한국무용을 전공한 김씨는 광주·전남 지역을 무대로 꾸준히 무용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는 공연단체 몸짓플러스 나비연의 단장으로 활동 중이다.고(故) 김영철 열사와 딸 김연우씨김연우씨가 주최, 주관하고 몸짓플러스 나비연, 놀이패 신명과 협연하는 이번 공연은 광주시, 광주문화재단, 5·18 기념재단, 들불기념사업회의 후원으로 진행된다.무대는 '에피소드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기존 춤 발표 공연에서 장르를 확장해 김 열사와 딸 연우씨 부녀의 에피소드가 담긴 극을 삽입함으로써 몰입을 더한다.공연에서는 죽은 자를 '별', 산 자를 '빛'으로 설정한다. 별과 빛이 서로 마주 보고 춤을 통해 아픈 과거를 치유하며 미래로 나아가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아버지와의 기억을 비롯해 무용가로서의 성장 과정을 '춤'이라는 장르의 예술로 승화한다.공연 '춤과 춤꾼의 에피소드극-별.빛 맞춤'은 만 7세 이상부터 관람 가능하며, 티켓 가격은 전석 2만원이다. 공연 예매는 네이버 폼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공연과 관련된 문의는 전화로 가능하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찰나의 아름다운 순간, 영원에 담다
- · 광주시청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하모니
- · 광주시향이 선물하는 드뷔시·드보르작
- · 오감으로 느끼는 디지털 사회의 이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