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 서울·경기·인천·대전·충남·제주 압승
22대 총선이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범야권의 압승이 예상되면서 '윤석열 정부 심판론'이 선거 결과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여당인 국민의힘이 들고 나온 야당 심판론, 선거 막판 불거진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각종 설화와 논란 등도 결국 강력한 정권 심판론 구도를 뒤엎지 못한 셈이다.
또한 민주당은 지역적으로는 서울과 경기, 대전, 충남, 제주에서의 승리가 원동력이었다는 평가다. 호남에서는 민주당이 전석을 싹쓸이하며 아성을 재확인했다.
이번 총선은 집권 3년 차를 맞는 윤석열 정부 중간평가와 함께 의회 권력을 장악한 민주당에 대한 평가도 동시에 이뤄질 것이라는 예측 속에 시작부터 여야의 '프레임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민주당은 이태원 참사,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에 따른 김건희 여사 일가 특혜 의혹, 김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 및 주가조작 의혹 등을 묶어 '이채양명주'로 명명하고 선거 국면 초반부터 집중적으로 여권을 몰아세웠다.
이 가운데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를 받아온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주호주대사 임명되자 민주당은 '도주 대사'로 규정하며 맹공을 퍼부었다.
여기에 사퇴로 귀결된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테러' 발언 논란과 '875원 대파'로 상징되는 고물가 현상, 출구가 보이지 않는 의정 갈등 등도 총선 기간 내내 대여 공세 포인트로 삼았다.
국민의힘은 야당 심판론으로 맞불을 놓았다.
레이스 초반 민주당 주류인 운동권 출신을 겨냥한 '86(80년대 학번·60년대생) 청산론'을 들고 나온 데 이어 민주당 이재명·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며 '이조(李·曺) 심판론'을 새로 꺼내 들었다.
그러나 국민의힘의 프레임 전략과 민주당에 악재로 작용한 각종 돌발상황을 뒤덮을 정도로 정권심판론의 바람이 더욱 거셌다는 평가다.
지역별 판세를 살펴보면 수도권과 대전·충남·제주 등에서의 승리가 큰 힘이 됐다.
모든 지역구에서 70%가량의 개표율을 보이고 있는 11일 0시 40분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170곳에서, 국민의힘은 113곳에서 각각 1위를 달리고 있다.
서울의 경우 48개 지역구 가운데 민주당은 35곳, 국민의힘은 13곳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21대 총선의 경우 민주당은 서울에서 5곳을 제외하고 석권했다. 경기는 60곳 중에서 민주당이 51곳, 국민의힘이 8곳, 무소속이 1곳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 60곳 중에서 51곳에서 1위를 달리는 저력을 보이고 있다. 인천에서는 14곳 중에서 민주당이 12곳으로 단연 앞서고 국민의힘이 2곳에서 앞서고 있다. 민주당이 최대 승부처인 서울과 경기, 인천에서 압도적으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과 충남, 세종에서도 민주당의 강세가 두드려졌다. 대전에서는 7개 선거구에서 모두 민주당 후보가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충남 역시 11개 선거구 가운데 8곳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세종 1개 선거구도 민주당이 1위를 달리고 있으나 충북은 8개 선거구 중에서 6곳에서 국민의힘이 1위를 달리고 있다.
강원도는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8개 선거구 중에서 6개 선거구에서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제주도는 3개 선거구 모두에서 민주당이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전북과 대구·경북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싹쓸이했다.
서울=강병운기자 bwjj2388@mdilbo.com
- 선교사들의 발자취 따라 만나는 과거와 현재 강진여중·도암중·강진칠량중 학생기자단이 16일 양림역사문화마을에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다. 김다빈·김태희·황유담 기자광주 남구 양림동에 위치한 역사문화마을은 ‘시간의 길목에서 예술을 만나는 곳’으로 과거와 현재를 잇는 관광지다.지난 16일 일일 기자체험 진로캠프에 참여한 강진여자중학교, 도암중학교, 강진칠량중학교 학생기자단이 양림역사문화마을을 방문했다. 양림동은 최근 펭귄마을과 감각적인 인테리어의 카페로 광주시민뿐만 아니라 광주를 찾은 관광객들에게도 ‘핫플’로 급부상하고 있다. 양림은 사직산과 양림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동남사면에 자리잡은 주거 지역이다. 그 어원은 ‘버드름’에서 시작된 것으로, 양림산에서 시작된 산 능선이 광주천에 닿은 모습을 표현했다.양림의 역사를 짚어보기 위해서는 100년 이상 전으로 돌아가야 한다. 1904년 광주읍성 밖 광주천 건너에 있는 양림동에는 서양인 선교사들이 모여 교회, 학교, 병원을 개설함으로써 기독교 복음 전파의 터전이 만들어졌다. 도심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울창한 숲이 우거져 풍경이 아름다운 것도 특징이다. 전통문화와 서양문화의 결합으로 한옥뿐만 아니라 서양식 건물, 선교문화 유적지, 노거수 호랑가시나무 등 전통 문화재가 보존돼있다.강진여중·도암중·강진칠량중 학생기자단이 16일 양림역사문화마을에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다. 김다빈·김태희·황유담 기자양림동을 탄생시킨 주요 선교사로는 유진 벨(1868~1925)을 빼놓을 수 없다. 부인 로티 벨 선교사와 1895년 한국에 들어와 광주선교부를 창설하고 광주와 전남 지역에 수많은 교회를 설립했다. 척박한 양림동에 숭일학교와 수피아여학교, 광주 최초의 종합병원인 광주 제중원(현 광주기독병원)을 세우고 복음의 씨앗을 뿌렸다. 양림동의 대표적인 근대건축물로는 커티스 메모리얼홀, 우일선선교사사택, 이장우가옥 등이 있다. 이 중 커티스 메모리얼홀은 유진 벨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돼 선교사와 가족들의 예배당으로 이용된 곳이다. 중앙을 기점으로 완벽한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원형 창과 첨두아치 형상의 창문이 조화롭게 배치돼 아름답다. 우수한 건축기법으로 양림동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로 손꼽힌다.시민들은 선교여행길, 문화예술여행길, 전통문화여행길 등의 투어코스를 문화해설사와 돌아보며 양림의 역사와 문화의 발자취를 따라 짚어볼 수 있다.김부경·김은성·장한 기자김동원 근대역사문화활동가“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 알려줄 때 가장 뿌듯해”김동원 근대역사문화활동가“일제강점기 등 한국사에서 굵직한 근현대사를 올바르게 알려주고 우리가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설명해줄 때가 가장 보람 있습니다.”16일 양림·사직동 근대역사문화탐방 코스에서 학생기자단이 만난 김동원 활동가는 가장 보람찬 순간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김 활동가는 문화예술사라는 직업에 대해 “그 지역의 문화 기념물들을 안내해주고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해주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주로 활동하는 양림동에서는 일제강점기 당시 선교사들이 세운 기념물과 건물 등에 대해 안내한다.그는 “직업이 따로 있는데 문화 해설 요청이 들어오면 자원봉사를 하는 것이고, 19년째 이렇게 활동하고 있다”고 말했다.김 활동가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가 생각하는 가치관이나 생각들을 나에게 맞추는 것이 아닌 상대방에게 맞췄을 때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며 “다른 문화에 대해서도 충분히 존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양림동에서 가장 자랑하고 싶은 것으로 ‘소녀상’을 꼽았다. 김 활동가는 “다른 곳에는 보통 소녀 한 분밖에 안 계시는데 양림동은 할머니와 소녀가 함께 있다”고 말했다.한다연·오서림·정승원·한이정 기자
- · 광주학생들 함성, 국제사회로 전파되다
- · 광주·전남 출신 '6인' 비례대표로 금배지는 누구?
- · 민주 심판론 내세워 단독과반 압승-거야 독주체제 굳혔다
- · 4년 전 데자뷔 '초선 광주'···정치력 '공백' 우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