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중항쟁 사적지24를 통해 바라본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

입력 2025.05.13. 19:27 양광삼 기자
광주 북구 망월동에 위치한 5·18 구묘지. 1980년 5월 신군부가 5·18 희생자들을 처음 묻었던 시립묘지. 5·18 구묘지에 묻혔던 희생자들이 현재 국립5·18 민주묘지로 옮겨지면서 민주화운동 묘역으로 자리매김 한 곳. 이한열열사, 표정두 열사, 박승희 열사, 최현열 열사 등과 영령들이 묻혔던 '망월동 묘지'라 불리워 왔던 민족민주열사묘역. 이 곳은 시멘트 길바닥에 깨진 채로 박혀있는 "5월 영령의 원혼을 달래는 마음으로 비석을 짓밟고 가달라"고 적혀 있었던 전두환 대통령 기념비가 있는 곳이다.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이 된 2025년 5월 13일 5·18 민중항쟁 사적지24를 통해 바라본 망월5·18묘역이 1997년 국립5·18묘역이 조성되었지만 비로소 편안히 눈을 감고 있는 모습으로 보존돼 있어 여전히 민주성지로 남아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광주 북구 망월동에 위치한 5·18 구묘지.

1980년 5월 신군부가 5·18 희생자들을 처음 묻었던 시립묘지.

5·18 구묘지에 묻혔던 희생자들이 현재 국립5·18 민주묘지로 옮겨지면서 민주화운동 묘역으로 자리매김 한 곳.

이한열열사, 표정두 열사, 박승희 열사, 최현열 열사 등과 영령들이 묻혔던 '망월동 묘지'라 불리워 왔던 민족민주열사묘역.

이 곳은 시멘트 길바닥에 깨진 채로 박혀있는 "5월 영령의 원혼을 달래는 마음으로 비석을 짓밟고 가달라"고 적혀 있었던 전두환 대통령 기념비가 있는 곳이다.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이 된 2025년 5월 13일 5·18 민중항쟁 사적지24를 통해 바라본 망월5·18묘역이 1997년 국립5·18묘역이 조성되었지만 비로소 편안히 눈을 감고 있는 모습으로 보존돼 있어 여전히 민주성지로 남아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