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국가폭력 피해자 증언대회 개최

입력 2025.06.08. 14:32 김종찬 기자
13일 국회 제2세미나실서 진행
중대한 인권침해 45년 묵인
5·17예비검속·해직 피해 등
6 13일 국회 제2세미나실에서 '5·18보상법 개정을 위한 국가폭력 피해자 증언대회'가 개최된다. 제8차 보상신청자 모임 제공

5·18민주화운동 45년 만에 국가폭력 피해자 증언대회가 개최된다.

8일 '5·18 제8차 보상신청자 전국대표자 모임'에 따르면 13일 국회 제2세미나실에서 '5·18보상법 개정을 위한 국가폭력 피해자 증언대회'가 개최된다.

'제8차 보상신청자 모임'은 이 행사를 통해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가 진상규명 결정한 '5·18관련 수배, 학사징계, 해직사건' 조사결과와 과제, 5·18피해자 인권탄압의 불법성 및 5·18보상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 발표하고, 전두환 등 내란 집단이 자행한 '5·18국가폭력에 의한 인권침해' 사례를 들여다본다.

이들은 현재 국회에 발의된 '5·18민주화운동관련자보상등에관한법률 일부개정안'에 대한 국회 의결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 1980년 5·18이후 45년이 지나도록 인권회복의 사각지대에 있는 5·17예비검속 및 수배,학사징계, 해직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및 실질적 보상이 온전히 이뤄지기길 촉구해오고 있다.

현재 5·18보상심의위는 5·18보상법에 근거해 제8차 보상을 신청한 1천979건에 대한 심의를 계속하고 있다. 이번 제8차 보상은 지난 2021년에 개정된 법률 규정에 의해 그동안 제1~7차 까지는 '사망자, 행방불명자, 상이자 등'으로 한정됐던 보상 대상에 '성폭력 및 수배, 학사징계, 해직자'를 새롭게 포함한 후 처음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지난 2023년 12월 23일, 국가권력 등에 의한 인권탄압 사건의 하위 사건으로 '5·18관련 수배, 학사징계, 해직 등 사건 조사 보고서에 대해 '진상규명' 결정했으며 계엄군 등에 의한 성폭력 피해자들과 5·18관련 수배, 학사징계, 해직 피해자들에 대한 치유, 명예회복, 보상 등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국가에 권고하기도 했다.

박우섭 상임대표는 "행정안전부와 5·18보상심의위 등 관계기관의 책임 회피로 국민적 공감과 사회적 합의의 결과인 '5·18보상법'의 목적과 취지가 무력화되고있다"며 "무엇보다 젊은 시절, 이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했던 사람들의 자존감과 긍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주기 바란다"고 전했다.

정경자 전 5·18조사위 조사관은 "윤석열 정부는 5·18조사위가 5·18진상규명법과 조사결과에 바탕으로 제시한 국가에 대한 '권고'에 대해 이렇다 할 노력도 이행계획도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법의 목적과 5·18조사위의 성과를 실종시키고 국가가 해야할 본연의 의무를 유기하는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께서 제70주년 현충일에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은 이제 사라져야 합니다'라고 하신 기념사를 뜻 깊게 들었다. 새 정부에서는 전두환 내란 정권의 피해자인 5·17예비검속 및 수배, 학사징계, 해직자들을 45년 세월 동안 인권회복의 사각지대에 놓아 둔 우리 사회를 깊이 성찰하고 실질적 보상이 온전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1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