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원의 행복··· 세종시 '대중교통 중심도시' 실현될까

입력 2024.10.31. 17:12 이윤주 기자
광주·전남 무상대중교통시대 열리나
⑥세종시 초광역 혁신 실험
생활권 반영 시·군 넘나드는
'행정구역 확장 혜택' 이례적
'월 정액권' 이응패스 도입해
한달만 버스 등 이용 12%↑
2만원 다 못 쓰면 환급해주고
더 쓰면 최대 5만원까지 보전
공영자전거 '어울링'도 무료

세종시의 '대중교통 혁신실험'이 이채롭다. 지난해 광역단체 최초로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선언한 세종시는 뜨거운 찬반 논란 속에서도 대중교통 공공화에 불을 지폈다. 예산 장벽을 넘지 못해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는 유보됐지만, 자체 설계한 교통패스를 선보이며 대중교통 중심도시를 향한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시민들의 생활권까지 고려해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 인근 시·군으로 확장한 교통패스의 혜택이 이례적이다.

◆자동차 도시 오명 벗자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는 대중교통 분담률 70%를 목표로 설계된 도시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정부 부처가 속속 입주하면서 인구는 증가한 반면 도로 구조 한계로 극심한 교통 체증을 빚어왔다. 불편한 버스노선에 자동차는 필수품이 됐고, 버스수송분담률은 전국 최하위권이었다.

세종시 시내버스 수송분담률은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낮다. 통근·통학시 이용하는 주요 교통수단으로 승용차가 72.5%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은 시내(마을)버스 7.9%, 철도 1.8%, 택시 2.5% 등이다. 승용차 수송 분담률은 46.9%(2019년 기준)로 가장 높다. 도시 특성상 대전·청주 등 인근 지자체로 출퇴근 수요가 많아서다.

승용차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자가용족이 도로를 점령해 세종 도심은 출퇴근 때마다 극심한 지·정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실제 세종시의 자동차 보유 대수는 2007년 2만9천583대에서 2018년 14만7천862대로 연평균 16%의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세종시는 '자동차 도시'라는 오명을 벗고 도심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지난해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 추진을 선언했다. 교통정책을 넘어 탄소배출 감소를 통해 기후·환경 문제에도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지도 담겼다.

인구 40만명에 육박하는 광역단체로서 '파격'에 가까운 실험이었다. 당시 연간 예산은 235억원으로 산출됐다. 하지만 발표 직후부터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가열됐고, 의회의 압박도 거세졌다.

결국 세종시는 막대한 예산 장벽을 넘지 못한 채 무료 버스 대신 '월 정액권'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선회했다. 세종시는 버스 전면 무료화에 소요되는 예산에 비해 정액권은 60억원으로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세종시가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고수하지 못한 이유에는 낮은 버스 이용률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세종시 조사 결과 6세 이상 시민 36만명 가운데 버스를 한 번이라도 이용한 경우가 15만명에 불과했다.

◆대중교통권 개발 '이응패스' 출시

세종시는 결국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가 시기상조라고 판단하고 맞춤형 대중교통패스 개발에 돌입했다.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보다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시민들에게 보다 많이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혜택을 담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K-패스와도 연계해 예산운영의 효율성도 기했다.

바로 세종시가 지난달 10일 공식 출시한 '이응패스'다.

'이응'은 '이동에 응답하다'의 줄임말이다. 공간과 공간을 언제나 연결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 부담이 대폭 줄어든다(Zero)는 의미도 담고 있다.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내놓은 정액권은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다.

매달 2만원을 충전하면 추가 요금 없이 5만원 한도로 갖가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한 달에 대중교통 요금으로 2만원 넘게 쓰면 5만원까지 세종시에서 보전해 준다. 또 세종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와 만 18세까지 청소년, 70세 이상 노인, 장애인 등은 무료다.

세종시의 경우 2023년 12월 말 기준 70세 이상 고령자는 2만6천249명, 6세부터 18세까지 청소년은 6만8천660명(6~12세 교통카드, 13~18세 이응패스) 등 총 9만4천909명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등록장애인수는 1만2천863명이다.

이용 대상은 시내버스, 간선급행버스(BRT), 마을버스, 부르면 달려오는 '이응버스'와 '두루타', 공영자전거 '어울링'까지 대중교통을 총망라한다.

세종시 이응패스가 특별한 이유는 시도간 경계를 넘어선 혜택이다. 세종은 물론 인접한 대전·청주·천안·공주·계룡시를 오가는 대중교통까지 이용(환승)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세종시민이라면 인근 지역 대전 지하철까지 대상에 포함된다. 사실상 대전이나 천안, 계룡 등 인근 지역과 생활권이 묶여 있는 현실을 반영한 혜택이다. 세종시 공용자전거 '어울링'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응패스는 환급방식이다. 월 충전금액인 2만원보다 적게 쓰면 차액을 돌려받는다. 사용자가 환불을 요청하면 전액(2만원)을 환불해 준 뒤 이용 금액만큼 재결제하는 방식이다. 다만 매월 5만원 미만을 쓰더라도 남은 금액은 이월되지 않고 소멸된다. 5만원이 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은 유지된다.

이응패스는 출시 한달여만인 지난 18일 기준 카드 신청자가 7만여명을 넘어섰다. 시는 당초 이응패스 카드 발급 목표를 인구 대비 10%인 4만장으로 잡았으나 신청이 폭주하며 올 연말까지 최대 10만장 발급으로 목표를 수정했다.

◆시행 한 달만 효과 뚜렷… 해법 주목

세종시가 대중교통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도입한 대중교통 정액권 '이응패스'가 한달여만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세종시는 이응패스 시행 전후 대중교통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민들의 일일 평균 대중교통 이용이 12%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이응패스가 시행된 지난달 10일부터 30일까지 대중교통 이용 건수와 운송 수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모두 늘었다.

이응패스 도입 이후 평일 대중교통 평균 이용 건수는 7만3천40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만6천76건과 비교해 11.1% 많았다. 공휴일이 포함된 주말의 평균 이용 건수는 3만6천91건으로 전년 동기 3만2천172건 대비 12.2% 높아졌다.

대중교통 운송 수익도 개선됐다.

지난달 한 달간 대중교통 평일 평균 운송 수익은 8천480만3천352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천818만7천450원보다 661만5천902원(8.5%) 늘었다. 공휴일이 포함된 주말에는 4천69만263원으로 전년 동기 3천906만2021원보다 162만8천242원(4.2%) 증가했다.

공용자전거 '어울링'을 이용하는 시민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응패스를 개시한 시점부터 지난 9일까지 한 달간 어울링 주행거리 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어울링 주행거리가 전년동기 대비 8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전체 이용자가 어울링을 타고 주행한 거리는 96만 7천801㎞로 집계됐다. 자동차로 이동할 경우를 가정해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면 242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어울링 주행거리 54만 623㎞와 온실가스 감축량 135t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에 이를 정도로 급격한 변화다. 시는 이응패스 시행 이후 시민의 어울링 이용률이 자연스럽게 높아졌고, 어울링이 세종시의 친환경적인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이응패스 시행과 버스노선 확대·개편 등 대중교통 혁신정책 시행이 평일 출퇴근과 주말 여가를 위한 대중교통 이용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며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설계된 만큼 대중교통을 이용할수록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윤주기자 storyboard@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3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