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왓슨 지음, 홍기빈 옮김|빵과장미|500쪽
민족·언어·직종·성별을 넘어
연대의 힘으로 역사 바꾼 파업
침묵 속 잠긴 100여 년 전 그날
노동자의 기록 샅샅이 파헤쳐
오늘날도 목마른 '인간다운 삶'
우리는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이처럼 사람이 죽어가는 이야기들도 신문은 그냥 한두 줄로 처리해버렸기에, 파업 직전의 토요일 저녁 에식스 스트리트의 한 상점에 우드 공장 노동자 한 사람이 제 발로 걸어들어가 갑자기 쓰러져 죽는다 해도 가족이나 옆에서 지켜본 사람들 말고는 누구 하나 신경 쓰지 않았다. 하지만 또 다른 노동자들은 이를 주목했다.'
세계 노동운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파업 중 하나인 '로렌스 섬유 파업'은 1912년 1월 12일 한겨울에 일어났다. 1912년 매사추세츠 주 정부는 노동시간을 주 56시간에서 54시간으로 줄였다. 공장주들은 줄어든 노동시간을 벌충하기 위해 기계의 가동 속도를 높였고 임금까지 깎아버렸다. 깎인 임금은 24센트, 빵 세 덩이를 살 수 있는 돈이었다. 공장 여기저기에서 "임금이 적다, 임금이 줄었다"는 고함이 터져 나왔다. 맨 먼저 폴란드 여성 노동자들이 작업을 거부하고, 모두 함께 "나가자!"고 외치기 시작했으며 이에 동조한 노동자들이 우르르 길거리로 쏟아져나갔다. 목격자의 회상에 따르면 이 파업은 아무런 계획도 없이 '전기 불꽃'처럼 시작됐다. 순식간에 1만 명으로 불어난 파업 대오는 미국인이 아니었다. 다수가 영어를 모르는 전 세계 51개국에서 온 이민자들로 각자 모국어로 소리 높여 외쳤다.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의미하는 빵과 풍요로운 문화를 즐기는 삶을 의미하는 장미. 노동자의 생존권과 인간다운 삶의 염원을 이보다 더 강렬하게 압축해 호소력 있게 빚어낸 말이 또 있을까? 사실 '빵과 장미'라는 말은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다. 1911년 시인 제임스 오펜하임은 '빵과 장미'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우리는 행진하고 행진한다/숨져간 무수한 여성들이 울부짖으며 함께 간다/우리는 아득한 옛날부터 그녀들이 부르던 빵의 노래를 부른다/허드렛일에 지친 그녀들의 정신은 예술도 사랑도 아름다움도 거의 알지 못했다/맞다, 우리는 빵을 얻기 위해 싸운다, 하지만 우리는 장미도 얻기 위해 싸운다'
오펜하임의 시와 여기에 곡을 붙인 주디 콜린스의 노래, 그리고 지치지 않고 노동 계급의 삶과 투쟁을 이야기하는 켄 로치의 영화에서 우리는 '빵과 장미'를 만난다. 또한 미국과 유럽에는 빵과 장미라는 이름의 사회 프로그램이 수백 개나 되고 이 사건의 본고장인 로렌스에서는 배고픈 사람에게 따뜻한 밥을 주는 음식 창고 '빵과 장미'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로렌스 파업' 혹은 이 파업에서 여성 노동자가 "우리에게 빵을 달라, 장미를 달라"라고 쓰인 피켓을 들었다 해서 '빵과 장미 파업'이라고 불리는 이 투쟁이 어떻게 일어났고 노동운동, 사회운동의 역사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수십 년 세월이 흘러 그날의 진실을 알고 있던 사람들은 하나하나 세상을 떠났고 이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다시 기록할 책임은 후손들과 역사가들에게 남겨졌다. 체 게바라의 얼굴이 그려진 멋진 티셔츠처럼 유행으로 소비되며, 이미지와 실체가 빵과 장미라는 기호 뒤에 숨겨진 투쟁의 전체상을 복원하기 위해 저자는 손에 넣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꼼꼼히 수집해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1912년의 로렌스로 인도한다.
켄 로치가 영화 '빵과 장미'에서 주인공의 입을 통해 외치듯이 빵도 장미도 결코 거저 얻을 수는 없다. 수많은 노동자들이 고난을 겪고 죽어갔음에도 지금 우리 역시 빵에, 장미에 여전히 목이 마르다. 1912년 로렌스 노동자들의 투쟁에 '빵과 장미 파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면, 그때도 지금도 앞으로도 '일하는 우리'가 모든 장벽을 넘어 연대하고 간단없이 투쟁함으로써 비로소 빵과 장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문학축전·시인지 복간···다시 보는 조태일 시인 시로서 저항을 노래하던 죽형(竹兄) 조태일 시인(1941~1999)의 타계 25주기를 맞아 시인의 삶을 돌아보고 시 세계를 기리는 다양한 자리가 마련된다.이번 25주기에는 시인의 삶을 조명하는 문학축전 행사와 함께 생전에 주간으로 활동했던 '시인'지가 복간돼 의미를 더한다.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와 곡성군은 오는 19일 '제6회 조태일문학상 시상식'과 '2024 죽형 조태일 25주기 문학축전'을 진행한다.곡성조태일시문학기념관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석곡지역아동센터 오케스트라가 선물하는 클래식 선율을 시작으로 싱어송라이터 서혁신이 '일어나', '조율' 등을, 바리톤 이형기가 '오 솔레미오', '베사메 무초' 등을 노래한다. 이어 정원도, 류경, 박두규, 한종근 시인들의 시 낭송이 진행된다.이날 행사에는 조태일 시인 육성을 들어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된다. 또한 조태일 시인의 가족도 함께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부대 행사로는 죽형 조태일 시인 25주기 추모 시화전 '고여 있는 시, 움직이는 시'도 함께 펼쳐진다.앞서 지난 8월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와 곡성군이 주최한 제6회 조태일문학상에는 박석준 시인의 시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푸른사상)'가 선정됐다. 1958년 광주에서 출생한 당선자 박석준 시인은 시집을 통해 한국 민주화 과정을 거치며 갖은 고통을 겪었던 개인의 가족사를 비롯, 음울한 도시의 풍경과 소시민의 삶을 형상화했다.조태일 시인특히 죽형조태일기념사업회는 조태일 시인이 주간으로 활동했던 '시인'지를 연간시지로 복간해 눈길을 끈다.1969년 8월 월간지로 창간한 '시인'지는 1970년 11월까지 총 16호 나왔으며, 이후 1983년 5월 무크지 형태로 복간돼 1986년 8월까지 4권이 더 나왔고, '시인'지로 등단한 이도윤 시인이 2003년 9월 재복간해 21권을 냈으나 2019년 9월 다시 중단됐다. 이후 2015년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가 조태일 시인 25주기를 맞아 통권 42호로 명맥을 잇게 됐다.이번 호에는 조태일 시인 25주기를 조명하는 다양한 특집을 비롯해 한국 문단의 굵직한 현안을 다루고 있어 눈길을 끈다.'특집 1-조태일의 삶과 시'에서는 구중서 문학평론가가 조태일 시인의 위상과 성격을, '특집 2-시인, 시의 새 시대를 열다'에서는 '시인'지로 등단한 고원, 고광헌, 박남준, 양성우, 정원도 등 시인들의 신작 시를 비롯해 엄동섭 근대서시학자의 '조태일의 시(단)사적 위치와 '시인'의 서지 비정(批正)'을 실었다.조태일 시인또 제6회 조태일문학상을 받게 된 박석준 시인의 신작 시와 시인이 직접 고른 애착 시, 백애송 시인과의 대담이 실렸다.한편 조태일 시인은 1941년 전남 곡성에서 출생, 196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아침 선박'으로 등단, 이후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노래하고 방해 요소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 시를 펴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시인'지의 주간(主幹)을 지내기도 했으며, 1999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제24회 고산문학축전 개최
- · [새책안내] 슬로우 워크 外
- · [화제의 책] 감춰진 세계경제의 진실을 파헤치다
- · '현대인의 불안'···이유를 알면 해법 보인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