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여객기 참사' 후속 지원 나섰다

입력 2025.01.09. 17:46 이정민 기자
광주시, 특별법 제정·12·29마음센터 추진
전남도, 트라우마센터·추모공원 등 조성
“일부 중복”…“사전 조율·유가족 의견 반영”
광주시청-전남도청 전경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전체 희생자의 장례 절차가 모두 마무리되고 사고 원인 규명을 향한 시계가 빠르게 흐르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와 전남도가 희생자 유족과 지역민의 피해 회복을 위한 다양한 후속 지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시·도 추진 사업 중 일부 중복되거나 비슷한 성격이 있어 국비 확보 등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희생자들의 의견 반영과 함께 지자체간 사전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9일 기자들과의 차담회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트라우마를 호소하고 있는 희생자 유족과 시민들의 피해 회복을 위해 유족·국회·정부 등과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가 준비하고 있는 특별법 주요 내용은 유가족의 일상 회복을 위한 경제·의료지원, 유가족 포함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위한 자조공간 마련, 참사로 큰 타격을 받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 등이다.

시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지원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면서 여객기 참사 피해자 심리 회복을 위한 '12·29 마음센터(가칭)'설립 관련 내용을 포함시킬 방침이다.

강 시장은 "유가족 협의회에서 '장례 후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면 희생자의 흔적을 보며 트라우마에 시달릴 것이 걱정된다'는 호소가 있었다"며 "함께 모여 어려움을 극복할 공간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시는 관광업계 피해조사를 실시하고 소상공인 특례보증 50억원을 지원하는 등 참사로 직접 타격을 입은 관광업계 지원방안도 발표했다..

다만 강 시장이 발표한 '12·29마음센터'는 김영록 전남지사가 3일 전에 밝힌 트라우마센터와 역할이 비슷한데다, 기존 광역·기초 트라우마 센터와의 역할 중복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지난 6일 김 지사는 "심리상담 및 치료를 위한 트라우마센터 설치와 추모공원을 국민이 함께 추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추모공원은 무안국제공항 인근에 460억원을 투입해 7만㎡ 규모로, 추모탑과 추모홀, 방문객센터, 숲, 정원 등을 마련해 치유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이에 희생자가 광주와 전남 두 지역 연고자가 대부분인 만큼 시·도는 유가족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서로 협의해서 한목소리로 정부에 특별법 제정과 지원 사업을 건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센터 장소는 광주는 여객기 참사 피해자가 가장 많고 전남지역 유족의 접근성도 고려해 (유가족) 협의를 통해 최종 선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