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 기반한 축제는 위기···전문가가 꺼내 놓은 대책은?이진의 전남연구원 문화관광연구실 연구위원
'기후 리스크'에 따른 다수의 지역 경제적 위험성 커져
일정·주제 등 기후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다양한 콘텐츠 통한 경험·메시지 주는 방식으로 변화
2025.05.28@ 이삼섭 -
매화 없는 '매화축제'의 씁쓸했던 봄날···기후가 흔드는 축제 DNA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 2부 나비효과
③ 'OO없는 OO' 축제
2025.05.28@ 이삼섭 -
기후 리스크, 전남 축제 무너뜨린다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 2부 나비효과
③ 'OO없는 OO' 축제
자연 의존성 높은 전남, 축제 절반 넘게 '기후 취약'
개화 시기·어장 지도 변화로 축제 위축·존폐 기로에
2025.05.28@ 이삼섭 -
화마로 잃어버릴 뻔한 터전···"아직도 기억이 생생해요"이상기후의 경고 … 현실된 밥상 양극화
② 사나워진 산불
화순군 이양면에서만 3년새 2번
평화롭던 일과 송두리째 뺏어가
평균 기온 상승 반면 강수량은 하락
2025.05.27@ 김종찬 -
온난화에 바짝 마른 산림···겨울 산불 급증이상기후의 경고 … 현실된 밥상 양극화
2부. 나비효과 ② 사나워진 산불
지난 5년간 건조주의보 발효 전국 상회
5년간 214건 산불 발생…787ha 소실
계절 안가리는 산불…지구 온난화 이유
2025.05.27@ 김종찬 -
기후 적응과 상업화 가능성은 별개···선제적 준비 필요■신민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농업연구사
2050년이면 아열대 기후대
국토 56%까지 확대 가능성
기후 변화, 빠른 속도가 문제
기간별 전략·기술전환 논의돼야
2025.05.07@ 김혜진 -
줄어드는 푸랭이, 사라지는 입안 가득 그 향기농가 고령화에 긴 장마·폭염까지
생산량 2020년 이후로 감소추세
지역 특산물 지형 기후에 '흔들'
2025.05.07@ 김혜진 -
"장마 50일··· 말라 죽었다" 이상기후에 흔들리는 무등산수박장마 50일 이후 이어지는 폭염
2020년엔 고사로 생산량 '반타작'
전국 농특산물 주산지 북상 중
경북 사과는 강원·제주 감귤은 전남
작목 전환·시설 투자 '불가피'
2025.05.07@ 김혜진 -
"사라진 영광 참조기, 과학에 기반해 '어장' 되살려야"김상국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영광지원장
조기 어장 사라지며 '굴비 고장' 정체성 위기
식탁 물가 올라가고 '특산물' 지역 경제도 타격
기후 변화 대응한 '고수온 내성 품종' 개발 병행
2025.04.24@ 이삼섭 -
백화점 보내진 참조기···중국산 부세 '서민 식탁' 채웠다■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1부. 음식 불평등 ⑤보리굴비
해수면 온도 상승에 '참조기' 씨 말라…10년만에 위판 물량 절반 줄어
"참조기 보리굴비, 부세보다 5배 가까이도 비싸…백화점 고급 선물용"
2025.04.24@ 이삼섭 -
수온 1.44℃의 경고···영광 앞바다서 참조기가 사라졌다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1부. 음식 불평등 ⑤보리굴비
온난화에 '황금어장' 직격탄…어획량 급감·대형조기 품귀 현상 지속
달라진 입맛과 높은 제조원가 상승에 어민·가공업체 등 '이중고'
2025.04.24@ 이삼섭 -
"에어컨 한달 일찍 틀고, 한달 더 가동···폭염 땐 전기세 두 배"삼겹살 값 상승 이유는
축사농가, 매년 온도와 사투
전남지역 폭염일 수 늘수록
에어컨 가동일 덩달아 증가
깨끗한 물과 사료 공급 필수
2025.04.14@ 강승희 -
기후위기에 돼지 생산 비용↑···폭염이 키운 식탁 물가김조은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연구사
땀샘 거의 발달 못했고 피하지방 두꺼워 고온 취약
돼지는 면역력 저하, 근내지방·육색 저하 등 품질↓
폭염에 냉방·사료 단가 등 운영비 올라 소비자가 반영
2025.04.14@ 강승희 -
"삼겹살 먹자" 한마디가 부담스러운 시대■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1부. 음식 불평등 ④삼겹살
올 2월 삼겹살 1인분 1만5천여원…10년새 49.16%↑
여름철 채소 수급 불안 등 '부르는 게 값' 운영 부담
2025.04.14@ 강승희 -
"이상기후, 작물의 생장·생리에 직접적인 영향 미치는 핵심 요인"전남, 전국 양파 재배면적 37% 담당
잦은 비·일조시간 부족 등 작황 부진
기후 대응 위한 다양한 품종 개발 박차
2025.04.04@ 김종찬 -
"더운 가을·겨울, 추운 봄에 양파 생산량이 급감했어요"3월 기온 급락에 냉해 피해 심각
평당 25㎏에도 못미치는 수확량
소비가 상승…중식당 가격 ‘압박’
2025.04.04@ 김종찬 -
서민음식? 이제는 아무나 못먹는 '짜장면'1부. 음식 불평등 3. 짜장면
2023년 6천391원…1975년 대비 46배
면 플레이션 효과…인건비 등도 주요 원인
2025.04.04@ 김종찬 -
배추 심는 날이 달라졌다··· 기후변화가 바꾼 농사달력온난화에 정식날 앞당겼다
갑작스레 쏟아진 눈에 시름
작년 9월 쏟아진 극한호우
가을배추 전체 20% 폐기
북상하는 재배 한계선
출하시기 따라 도미노 현상
예측 불가능 날씨에 요동
여름배추 1폭 1만원 훌쩍
외식메뉴 가격 상승으로
2025.03.26@ 김혜진 -
"날씨에 민감한 배추, 이상기후에 가격 상승"인터뷰-위승환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사
한국인 소울푸드 김치 주재료
정부 가장 주의깊게 모니터링
폭염·한파·호우에 '금배추' 반복
준고랭지·신품종 개발로 대응
2025.03.26@ 김혜진 -
이제 점심때 뭐먹지 귀족된 금치의 배신■이상기후의 경고…현실된 밥상 양극화
▶ 1부. 음식 불평등 ②김치찌개
폭염·한파 등 금배추 금무
1인분 1만원 서민음식 옛말
재료값 뛰면 매장은 힘들어2025.03.25@ 김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