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문화의 창

무등일보·아시아문화원 공동기획 아시아문화의 창 <13>건국 1100년에 돌아보는 고려

입력 2018.12.03. 00:00
9~10세기 격동기 역사에 뚜렷한 족적 남긴 왕건들
전촉 황제 왕건릉(현릉) 전경. 중국 성도시 소재

올해(2018년)는 고려 건국 1,100년이 되는 해이다. 이 나라는 918년 후삼국의 궁예弓裔 정권에 참여하고 있던 송악(개성) 출신의 무장인 왕건王建에 의해 세워졌다. 그는 정권 후반기 폭정을 일삼기 시작한 궁예에 대항하는 봉기를 일으켜, 태봉泰封을 대체하는 '고려'를 건국하였다. 그리하여 왕건의 '후삼국 고려'는 건국 초기 여러 위험들을 이겨내고, 936년 후삼국을 통일하여 '통일국가 고려'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로써 우리 역사는 고대 사회의 여러 한계를 극복한 '중세'사회의 성립을 맞이하게 되었다.

왕건이 내세운 '고려'는 국호를 태봉, 마진摩震 등으로 바꾸었던 궁예가 최초에 내세웠던 국호이기도 했다. 그는 901년 국가 체계를 완성한 뒤 고려라는 국호를 천명했다. 교과서 등에는 흔히 '후고구려'로 나타나지만, 그가 실제로 내세운 국호는 이처럼 '고려'였다. 이는 중세 국가로 왕건이 세운 고려와의 구분하기 위한 의도에서 '후'자를 덧붙인 것이며, 역시 같은 의도에서 고대 국가인 고구려의 국호를 가져와 결국, '후고구려'의 조합을 완성해낸 역사적 실체가 없는 후대의 가공물인 것이다.

#그림1중앙#

따라서 엄밀히 궁예가 건국 초기에 처음 내세운 국호는 역사적 의미에서는 '후고려', 실제로는 '고려'였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가들의 편의에 따른 국호 변경은 견훤甄萱이 세운 '백제'에도 이어져, '후백제'라는 국호가 등장한다. 반면, 7세기 중반 백제를 멸망시키고, 8세기에는 고려의 일부 고지에 대한 지배권을 당에게 인정받은 신라는 그대로 '신라'로 등장한다. 그렇게 하여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와 '후백제', '(통일)신라'가 등장하는 시대상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군웅이 할거하고, 배반과 음모가 넘쳐났던 당시의 실상만큼이나 혼란스럽다.

#그림2중앙#

여기에서 '고려'라는 단어에 한걸음 더 다가가보면, 그보다 이른 시기에 실존했던 또 다른 고려가 확인된다. 우리가 흔히 '고구려'라고 알고 있는 한반도 북부와 요서 이동 지역에 걸친 영역을 갖는 고대 국가도 5세기 장수왕長壽王 이후 어느 시점부터는 '고려'라는 명칭으로 국명을 바꾼 바 있다. 그러므로 2018년이라는 연대에 담긴 누적된 '역사성'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 '고려'는 좀 혼란스러운 단어가 아닐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왕건의 고려'라는 개념을 꺼내야만 한다.

그런데 동북아의 역사가 크게 요동친 9~10세기에는 '왕건'도 혼자가 아니었다. 당시에는 세 명의 '대표적' 왕건王建이 있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수천 년 간 '왕王'이라는 씨氏가 사용되었고, 거기에 외자의 이름이 결부되는 단순한 규칙으로 사람의 성명姓名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역사상 '왕건'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도 많았다. 그렇다보니 10세기 고려의 국왕 왕건을 대하는 동북아시아인들의 반응에도 혼란스러운 면이 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 속에 뚜렷한 자기 족적을 남긴 이는 '왕건과 왕건, 그리고 왕건' 정도이다.

첫 인물은 중당기의 시인 왕건(王建, 767∼830)이다. 당시선, 전당시, 전당문 모두에서 그의 시가 빠지지 않는 뛰어난 시인이었던 왕건은 낮은 신분 출신으로, 귀족 사회인 당에서의 사회적 성공을 위해 자신의 문학적 능력을 끊임없이 소비했던 인물이다. 그리고 빈한한 삶의 연장에서 자신의 비루함을 낳은 시대와 풍조를 공격하고, 변화와 개혁을 위한 날선 비판을 거듭하였다. 한편으로 그는 한직과 여러 절도사의 막부를 옮겨 다니며, 자신의 '문한적 기능'으로 유세를 펼쳤던 가여운 지식인이기도 했다.

#그림3중앙#

다음은 그가 남긴 망부석이라는 시이다. "하염없이 지아비를 기다리는 곳/강물은 유유히 흘러가고/끝내 돌로 변하였어도/기어이 머리는 돌릴줄 모르네/산머리에서는 매일매일/바람이 비로 변하건만/떠난 이 돌아오는 것만이/돌로 하여금 입을 열게 할 듯" 9세기 전반은 동북아시아의 고대 사회가 종말을 고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그 시점에 등장한 왕건의 시는 분열과 종언을 향해 치닫는 시대 변화의 거대한 수레바퀴에 맞서는 사마귀의 치켜세운 앞발과 같은 것이었다. 물론, 그의 작은 행동만으로는 역사 큰 물결을 막을 수 없었다.

두 번째 인물은 유비의 옛 땅에 전촉前鏃을 세운 왕건(王建, 847∼918)이다. 당대 이 지역은 서천西川이라 불렸는데, 당 말에 서천절도西川節度가 설치되었다. 그는 하층 계급 출신으로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 가운데 공을 세워, 유력한 군벌의 하나로 떠올랐다. 이후 촉 지방에서도 한지인 영평永平에서 절도사로 자립하였고, 당의 중앙정부에 대해 적대적이었던 진경선陳敬瑄을 진압하고 촉의 중심인 성도를 손에 넣었다. 이후 그는 이무정李茂貞의 한중까지 점령하여 촉왕에 봉해지고, 907년 당이 멸망한 이후에는 황제가 되었다.

전촉의 왕건은 무인 출신임에도 치세 전반에는 명민한 군주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문한을 숭상하여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도 수많은 당대의 문인들이 성도를 찾게 만들었다. 변방의 촉 지역이 또다시 중원의 문화와 문물을 보호하는 공간이 되었던 것이다. 다만, 집권 후반 중원으로의 군사적 진출이 몇 차례 실패한 이후로는, 가혹한 통치가 시작되고 초창기의 개혁적 정치도 더 이상 이어지지 않았다. 왕건의 촉은 그의 기대와는 달리, 918년 그가 사망하고 난 뒤 불과 7년 정도 더 이어지다 멸망한다.

마지막은 고려의 태조 왕건이다. 1,100년 전 고려를 건국하고,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의 태조 왕건도 낮은 신분이었다. 그는 신라의 지방 촌주村主 정도의 직위를 가졌던 사찬沙飡 왕융王隆의 아들로 송악(개성)에서 태어났다. 통일신라 말기에 들어서면 중앙에서 파견한 관료들의 지방 통제는 거의 유명무실해졌다. 그리하여 신라는 각 지역의 유력자인 촌주들의 협력을 얻기 위해, 그들에 대한 대우를 파격적으로 개선했다. 왕융에게 주어진 사찬이라는 관위 역시 그와 같은 통일신라 말기 사회상의 흔적이다.

사찬은 신라 경관위에서 8위에 해당하며, 6두품이 주로 받을 수 있던 것이었다. 이 관위를 지닌 인물들은 중앙 행정 조직이나 군사 조직의 부장이나 차관급 지위까지 오를 수 있었다. 촌주라는 위치는 오늘날 개념으로 보자면, 동네 이장 이상에 면장들이나 읍장들 수준 정도에 해당할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유력자들이 실력과 무력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무한히 확대하던 시점이라 이웃한 지역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그런 인물들 중에 진골 신분이나 가능하던 '장군'을 칭하는 이들도 나타났다.

이들이 바로 이 시대의 주인공인 '호족'이며, 사찬 왕융 역시 서해안을 중심으로 하는 해상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한 호족 중의 한 사람으로 이야기된다. 그렇다면 왕건의 현실적인 지위는 돈 많은 외항선 선주의 아들 정도가 될 것이다. 오늘날이라면 면장 정도나 했을 인물이 실력과 재력을 기반으로 점차 성장하여, 그 아들이 왕의 지위에까지 오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아버지로 언급되는 아자개阿慈介 역시 오늘날 문경 지역에서 장군을 자칭한 인물이다.

한편, 당시 고려와 후백제 정권에 참여한 인물들도 대부분이 '호족'이었다. 하나의 군현 안에서 서너 명의 장군들이 나타나고 사라졌고, 그 중의 일부는 그 범위를 넘어서는 큰 세력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그러니 한반도 후삼국의 혼란기는 가히 '면장님들 전성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왕건은 적극적인 혼인 정책을 비롯한 각종 호족 우대 정책을 통해 호족 연합 정권을 공고히 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후삼국의 혼란기를 종결하는 통일을 완수할 수 있었다.

왕건의 신분을 설명하는 각종 기록을 통해 재구성한 그 집안의 내력은, 해상 무역을 통해 성장한 무역상 가문, 고구려 성골장군의 계통을 이은 위대한 가문, 한대 낙랑군에서 이주한 한족 왕씨 계통의 후예 등 다양하다. 충격적인 것은 왕건의 계보에 대한 공식적인 '고려사'의 기록이다. 그에 따르면 왕건은 '당 숙종 황제의 후예'이자 용왕을 진외할아버지로 둔 스펙터클한 출생의 비밀을 가진 인물이 된다. 하지만, 이렇듯 설명이 구차하고 복잡한 것은 그의 실제 출신이 미천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왕건이 '당 숙종 황제의 후예'를 내세우면서, 한반도 내에서 진행된 소국들의 땅따먹기는 이제 국제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상황이 된다. 당의 역사를 뚜렷이 기억하는 이들 앞에서 당 숙종의 후예를 내세웠던 것은 그만큼 그 시대가 혼란했기 때문일 것이다.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치는 시기는 동북아시아의 한·중·일 모두의 격변기였고, 국제적으로도 새로운 체제가 기지개를 켜며 도래하기 시작하는 시점이었다. 그런 점에서 전촉의 왕건과 고려의 왕건이 역사적으로 담지한 역할과 출신은 닮은꼴이다.

'왕건과 왕건, 그리고 왕건', 이들은 역사 속에서 자신의 족적을 크게 남긴 인물들이지만, 각각의 성과는 모두 달랐다. 시인 왕건이 무너져 가는 당을 지켜내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면, 전촉의 왕건은 그 한 축을 크게 흔든 인물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전촉의 성립은 그가 거둔 소기의 성과일 수 있다. 하지만, 이 나라는 단 2대, 불과 십여 년 간 유지된 단명 왕조로 문을 닫았다. 반면, 고려의 왕건은 한반도의 혼란을 통일하고 향후 500년 가까이 유지된 중세 국가의 안정된 체제를 성과물로 거둘 수 있었다.

918년 건국된 고려는 궁예 정권 후반기의 혼란 위에 세워졌다. 따라서 그 정치적 기반이 튼튼하지는 않았다. 그는 전제적인 태도를 취할 수 없었고, 수많은 호족들과의 '타협'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송악 호족의 아들로서 이전 시대의 낡은 제도에는 기대할 것이 없었던 인물이기도 했다. 따라서 시대 변화에 대한 감수성에 있어서 왕건은 그 누구보다 우월했다. 그리고 이것은 새로운 체제와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되었다. 그리하여 한반도의 중세 사회는 그가 세운 국가 '고려' 위에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림4중앙#

 배재훈 아시아문화원 연구원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