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의 시각-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은 서너개

@주현정 입력 2018.05.18. 00:00

주현정 통합뉴스룸

'내 동생 곱슬머리 개구쟁이 내 동생'도 아닌데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은 서너개다. '무슨 엉뚱한 소리냐' 하겠지만 올해로 38주년을 맞은 5·18민주화운동이 그렇다.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사에 한 획을 그을 만큼 중대한 역사라고 평가 받으면서도 여전히 진실규명이라는 무거운 과제를 안고 있는 5·18은 그 끝나지 않은 숙제처럼 불리는 이름 또한 많다.

'민주화운동', '광주민주화운동', '민중항쟁', '민주항쟁', '5·18광주의거' 등.

물론 명칭이 혼용돼 사용된다고 해서 5·18민주화운동이 갖는 정신과 의미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투쟁의 주체 등 어떤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는 있다. 하지만 유네스코가 5월의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만큼 그 가치와 의미가 큰데다 전국화·세계화를 위해 5·18 명칭 일원화는 시급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5·18을 기념하는 공식명칭은 '5·18민주화운동'이다. 하나의 명사로 띄어쓰기 없이 쓰는 것이 가장 올바른 표현이다.

그런데도 광주시, 5·18 3개 단체, 5·18행사추진위원회, 각 정당 등 5·18민주화운동을 기리는 수많은 단체 등이 그 명칭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의 명칭 혼선은 지난 38년간의 지난했던 진실규명 과정에서 이유를 찾아 볼 수 있다.

80년 5월 21일 당시 이희성 계엄사령관은 "광주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합세한 소요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후 군부에 의해 5·18은 '폭동'으로 규정되기 시작했다. 27일 새벽 계엄군에 의해 진압된 뒤 이어진 군사 정권 당시에는 '광주사태'로 불려졌다.

하지만 1987년, 전두환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6월 항쟁이 일어났고 노태우 정권이 스스로 광주청문회를 열면서 재조명을 받게 된 5·18은 비로소 '민주화운동'으로 격상됐다.

이듬해 민주화합추진위원회는 5·18을 민주화운동의 하나로 규정하며 '광주민주화운동'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러다 1993년 김영삼 정부가 역사바로세우기 차원에서 5·18민주화운동을 재조사하기 시작했고, 전두환·노태우 수감,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1995년),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1997년) 등이 이어 제정됐다.

마침내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들은 보상을, 신군부 세력은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5·18은 특정지역의 민주화운동이 아닌 전 국민적 차원이었다는 역사적 평가와 정당성을 인정받았고, 마침내 '5·18민주화운동'으로 명명됐다.

1997년 정부에 의해 국가기념일로도 제정됐으며 그 해 5월 18일부터는 정부 주관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도 거행되고 있다.

그렇게 20년. 하지만 5·18은 여전히 '민주화운동'이라는 제 이름 대신 별칭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다. 하물며 광주시가 발행한 공문서와 5·18기념재단,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등이 생산하는 자료에도 혼용돼 사용되고 있다.

대학생, 시민들로부터 시작된 민주화운동이라 하여 '민중'을, 군부독재에 맞섰다 하여 '항쟁'을 강조한다고 하지만 그 어디에도 5·18을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의 의미를 알려주는 곳이 없다.

'1980년, 암울했던 그때를 살아보지도 않은 네가 지적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꼬집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5·18정신을, 광주정신을 계승하고 후대에 전달해야 하는 책무는 그 시절 그 때를 살아보지 않은 이들에게 있다.

적어도 5·18이 왜 이리 많은 이름을 갖게 되었는지 친절하게 설명이라도 해줘야 한다. 그게 1980년 5월을 살았던 이들이 2080년 5월을 살게 될 이들에게 해야 하는 의무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